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척자
선각자
선구
파이어니어
창시자
선배
선봉
뉴스
"
선구자
"(으)로 총 2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인공위성의 성공 신화는 제 역사이기도 합니다”
2016.01.25
13일 낮 대전 유성구 신성로 인근의 한 샤브샤브 식당에서 용상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탑재체전자팀 책임연구원을 만났다. 한 손에는 묵직 ... ‘항우연’으로 3행시를 부탁했다. “항공우주는 대한민국의 미래다. 우주 개척의
선구자
가 되도록 연구에 매진하는 과학자가 되자.” ... ...
IT 기술로 건강 지키는 ‘융합형’ 물리학자
2016.01.17
50세가 되는 김 부장은 ETRI에서만 22년째 근무 중이다. 지금은 바이오의료IT 분야의
선구자
로 불리지만 그가 처음부터 이 분야를 연구했던 건 아니다. 물리학자인 그는 입사 초기 순수 과학자답게 기초기술연구부 물리그룹에서 근무 했다. 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물리적으로 규명하는 일이었다. ... ...
표준모형의 산증인,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6.01.02
구체적으로 예측했다는 점에서 와인버그 교수는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의
선구자
중 한명이라고 볼 수도 있다. 특히, 그는 고(故) 이휘소 박사와 함께 윔프를 제안하는 논문을 썼고, 논문은 이 박사가 불의의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고 한 달 뒤에 출판됐다. 그는 지금까지도 이휘소 박사를 ... ...
“기어S2 고급형 1월 CES서 공개… 웨어러블 진짜 시작”
동아일보
l
2015.12.14
웨어러블도 그런 과정을 거칠 것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웨어러블
선구자
였던 삼성전자가 올 초 신제품을 내놓지 않아 경쟁사들에 시장을 일부 내준 것이 사실”이라며 “내년 목표는 ‘웨어러블’이라고 했을 때 소비자들이 가장 먼저 삼성전자 기어 브랜드를 떠올리도록 ... ...
LED, OLED 다음은 ‘PeLED’!
2015.12.04
이태우 포스텍(POSTECH) 교수 - 포스텍(POSTECH) 제공 LED(발광다이오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의 뒤를 이을 차세대 디스플레이 ‘PeLED(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 ... 조명 산업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나라가 차세대 PeLED 분야에서도
선구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올해 85세인 이스라엘 헤브루대의 화학자 라파엘 머슐럼 교수는 의약용 카나비스 연구의
선구자
로 오늘날 ‘의약용 카나비스의 아버지’로 불리고 있다. ● 1964년에야 향정신 효과 성분 규명 1930년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태어난 머슐럼은 1949년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1960년대 바이츠만연구소에서 ... ...
일본 노벨상의 비결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5.10.07
드러났다. 하지만 입자가 힘을 매개한다는 발상 자체는 완벽히 맞았기에 그는 이 이론의
선구자
로 꼽힌다. ● 유학파보다 국내파를 키우다 과학적 업적은 아이디어와 정신력만으로 단번에 이뤄지지 않는다. 학계가 꾸준히 쌓아온 연구가 밑바탕을 이뤄야 한다. 유카와 교수는 외국 유학 한 번 ... ...
멀리서 온 가족들 배탈이라도 나면… 추석상비약 꼭 챙겨두세요
동아일보
l
2015.09.23
중 하나다. 일반 식음료 업체들이 유산균 제품을 많이 내놓고 있지만 사실 유산균 연구의
선구자
는 일동제약이다. 일동제약은 1957년 처음으로 유산균 연구를 시작해 1959년 국내 최초로 자체 유산균 배양에 성공했다. 많이 알려진 ‘비오비타’가 그해에 처음 제품으로 출시됐다. 꾸준한 연구개발과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미생물학자 폴 드 크루이프는 대중을 위한 과학저술의
선구자
다. 그가 1926년 발표한 책 ‘소설처럼 읽는 미생물 사냥꾼 이야기’는 18개 외국어로 번역됐다. 2005년 한글판도 나왔지만 아쉽게도 지금은 절판된 상태라 중고책을 구입할 수 있을 뿐이다. 책은 현미경을 발명해 미생물을 처음 본 안톤 반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아버지 같은 환자 고치기 위해 줄기세포 연구”
2015.06.10
되돌린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처음 개발해 차세대 줄기세포 연구를 개척한
선구자
로 평가받는다. 야마나카 교수는 원래 정형외과 의사였다. 하지만 지금은 임상(환자를 치료하는 것) 대신에 기초 의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다. 그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연구하는 궁극적 목적은 환자를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