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상세
면밀
세심
명세
내역
내용
뉴스
"
세밀
"(으)로 총 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 하나까지
세밀
하게 보는 가장 정교한 '나노입자 촬영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액상 투과전자현미경(Liquid cell TEM) 기술을 이용해 개별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세밀
하게 촬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나노입자를 원자까지 3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기법이 나왔다. 나노구조 연구를 활성화하고, 촉매의 성능을 높이거나 디스플레이의 색 순도를 ... ...
시민의 힘으로 만든 은하 동물원 '갤럭시 주(ZOO)'
수학동아
l
2020.03.07
이번에는 전자동 망원경이 촬영한 은하 사진 중에서 밝기가 밝은 25만 개만 추려서 좀 더
세밀
한 분류를 요청한 겁니다. 모양뿐 아니라 은하 중심부가 밝은지 어두운지, 여러 은하가 충돌하는 상태인지 등을 표시하도록 했습니다. 더 까다로운 작업이었지만, 시즌1 때보다 많은 약 6000만 번의 분류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엽록소를 가진 생물을 이전에는 10종류로 나눠 관측할 수 있었다면 이제는 100종류로 더
세밀
하게 나눠서 볼 수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해양탑재체는 프랑스, 캐나다 등과 공동개발했지만 핵심 기술은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특히 해양탑재체는 정확한 관측을 위해 주기적으로 태양을 ... ...
사진 한장으로 생산중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내부결함 들여다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기존의 복잡한 과정을 한번의 측정으로 해결했다”며 “(디지털화된 화상의 이미지가
세밀
하게 재현되는지 나타내는 공간적 충실도를 뜻하는) 공간 분해능을 10배 이상 향상시켰다”고 말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국산 측정장비의 자립화는 물론 첨단소자의 수율 확보에도 ... ...
[에코리포트]영구동토가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24
시베리아해 동쪽에서 영구동토층을 조사하던 러시아 톰스크 폴리테크닉대학교 이고르
세밀
레토프 교수팀은 바다에서 메탄 기체가 올라오는 모습을 포착했다(왼쪽). 연구팀이 현장의 대기 중 메탄 농도를 측정한 결과 16ppm으로, 평균 1.85ppm이 있는 것과 비교하면 약 9배 높은 수준이었다.Tomsk Polytechnic ... ...
세포 움직임까지 느끼는 3D 촉각 인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트랜지스터 센서는 센서 간 간섭없이 조밀한 배열이 가능하다. 촉각을 고해상도로 더욱
세밀
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사람 머리카락 단면(약 0.4㎟)보다 작은 면적에 가로 20줄, 세로 20줄의 정사각형 형태로 총 400개의 센서를 배열해 3D 촉각 인식장치를 개발하고 장치가 잘 ... ...
스스로 빛내고 알아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가 살아 숨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PL)이라고 부른다. 퀀텀닷을 응용한 디스플레이는 빛을 내는 반도체의 크기가 작아진다.
세밀
한 표현이 가능하고, 표현하는 색을 결정하는 요소인 빛의 파장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못지않게 얇으면서도 더 싸고 색 재현성이 뛰어난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 ...
QLED vs. OLED vs. 마이크로LED…CES는 디스플레이 기술 각축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PL이라고 부른다. 퀀텀닷을 응용한 디스플레이는 빛을 내는 반도체의 크기가 작은 만큼
세밀
한 표현이 가능하고, 표현하는 가시광선의 색을 결정하는 요소인 빛의 파장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OLED 못지않게 얇으면서도, 보다 싸고 안정적이며 색 재현성이 뛰어난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층 더 상세하게 재현한 뇌 신경세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1
높아졌음을 뜻한다. 공간해상도가 높을수록 신경세포간 구분이 쉬워 공간에 대한
세밀
한 분석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연구팀은 재구성 모형을 가지고 이전에는 예측할 수 없었던 억제 및 흥분성 신경세포 연결성에 관한 정보를 밝혀냈다. 헬름스태드터 소장은 “쥐와 같은 포유류의 대뇌피질은 ... ...
인간 막단백질 접힘 경로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자성 구슬을 매달고 외부에서 자석을 가까이 해 단백질과 연결된 자성 구슬에 힘을
세밀
하게 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먼저 높은 힘을 가해 나선 막 단백질을 완전히 풀어낸 뒤 다시 힘을 낮춰 나선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하나의 막 단백질이 접히는 현상을 처음으로 관측하는 데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