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식
후예
혈통
씨앗
종자
뿌리
근본
뉴스
"
자손
"(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사선 육종기술로 만든 신품종 종자, “잘 키워주세요”
2016.03.22
방사선을 조사해 유전자나 염색체 돌연변이를 유발한 뒤 후대에서 우수한 형질을 갖는
자손
을 선별, 새로운 유전자원을 개발하는 기술이다. 방사선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우려할 수 있지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돌연변이와 같아 안전성이 입증된 기술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벼, 콩 등 식량작물을 ... ...
中 연구진, 배아줄기세포로 생식 가능한 정자세포 첫 제조
2016.02.26
암컷은 건강한 새끼를 낳았다. 이렇게 태어난 새끼도 다른 쥐와 교배를 시키자 정상적인
자손
을 낳았다. 자하오사 난징의대 교수는 “이번에 배아줄기세포를 처리한 기법을 영장류 등 다른 동물에게도 적용할 계획”이라며 “이 기술이 안전하고 효율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되면 인간의 정자를 ... ...
모기에 대해 궁금한 것 6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2.22
‘한 놈만’ 무는 이유 Q3. 모기의 생애는 어떻게 되나요? A. 모기는 태어나서 처음
자손
을 낳을 수 있을 때까지의 기간이 약 26일로 매우 짧습니다. 게다가 암컷은 한 번 교미를 하면 몸 속에 정자를 저장해 놨다가 평생 짝짓기 없이도 알을 낳을 수 있습니다. 다만 지카바이러스를 매개하는 ... ...
너무 불안해서 결혼 결심을 하지 못하겠어요.
2016.02.18
결혼 전 불안의 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혼인은 남성의 자원과 여성의
자손
번식능력간의 결합을 통해서 서로 이익을 얻는다는 것인데,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이러한 ‘계약관계’는 아주 미묘하게 진행되고는 합니다. 일종의 성적인 전략적 간섭 효과가 발생한다고 하겠습니다. 예를 ... ...
5억 년 전 알 품은 동물 찾았다
과학동아
l
2016.02.09
다양해졌음을 의미한다. 카론 교수는 “왑티아가 포식자나 환경 위협으로부터
자손
을 지키기 위해 진화한 결과로 추정된다”며 “머리의 갑피가 알을 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2015년 12월 17일자에 실렸다 ... ...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 ②
과학동아
l
2016.02.06
고양이의 특성을 지워버리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중성화 수술을 피해
자손
을 남기는 개체들은 사람을 경계하고 사냥에 능숙한 녀석들이기 때문이다. 야생성과 사회화의 묘한 줄다리기에서, 야생성 쪽에 힘이 실릴까. 고양이와 인간의 ‘밀당’은 이제 막 시작된 건지도 모른다 ... ...
수컷이 바람 피우는 이유가 기억력이 나빠서?
2015.12.13
나쁜 기억력 때문에 제 집을 찾지 못하고 다른 암컷 쥐와 교미하면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자손
을 퍼뜨릴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바람을 피우느라 자리를 비운 사이 자신의 배우자 또한 다른 기억력 나쁜 수컷 쥐와 바람을 피울 수 있기 때문에 정작 자신이 키우는 새끼는 제 ... ...
미의 절대기준은 존재하는가?
2015.10.26
진화심리학)은 아름다움의 평가기준이 번식력을 반영한다고 설명한다. 즉 우리는 건강한
자손
을 많이 낳을 수 있는 외형적 특징을 아름답다고 느낀다는 것. 이렇게 추출된 특징이 대칭성,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 평균성(averageness)이다. 대칭성은 말 그대로 좌우대칭으로 대칭성이 클수록 유전자에 ... ...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09.27
있다. 2010년, 네안데르탈인 게놈 해독 결과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서로 교배해
자손
을 남겼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12년에는 초기 호모 속 인류인 호모 하빌리스와 동시대에 호모 루돌펜시스라는 또다른 종이 존재했다는 사실도 알려졌다. 최근에는 이들 외에 또다른 초기 호모 속이 ... ...
조혈모세포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들에게 켜진 ‘그린라이트’
2015.07.26
물질이 성체 제브라피시에게 이식한 조혈모세포의 생착률을 높일뿐 아니라 그 효과를
자손
에게까지 이어지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진은 특히 이번 연구 성과가 제브라피시뿐만 아니라 포유동물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이 어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