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동기선
보트
보우트
동력선
모터보트
함재정
작은보트
뉴스
"
작은배
"(으)로 총 1,31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의 심술 '코로나' 실체 규명에 한걸음 더 가까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태양 코로나는 개기일식일 때 쉽게 관측된다. 둘레에서 빛나는 부분이 코로나.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태양은 지구와 1억5000만km나 떨어진 곳에 있지만 직접적인 열과 빛을 포함해 지구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열과 빛 외에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에 있는 가스층인 ... ...
수십광년 밖 외계 행성에 바다 존재 가능성…"생명 징후도"
연합뉴스
l
2023.09.12
연합뉴스 제공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외계 행성에 물로 이뤄진 바다와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포착됐다고 1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최근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으로 지구에서 120광년 떨어진 사자자리의 행성인 K2-18b의 대기 구성을 관찰한 결과 물 ... ...
25일마다 블랙홀에 '잡아먹히는' 별
동아사이언스
l
2023.09.08
비교적 질량이 작은 블랙홀에 의한 조석파괴현상이 관측됐다. Neils Bohr Institute 블랙홀에 의해 25일마다 반복적으로 조금씩 파괴되는 별이 발견됐다. 블랙홀이 주변 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 레스터대 물리천문학부 연구팀은 주기적으로 폭발이 일어나는 ... ...
타이레놀 과다 복용시 간 손상 제어 가능성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4
자연계 세포막을 모방해 칼륨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투과막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원하는 이온만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배터리 분리막, 해수 담수화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이온 선택 투과막'이 새롭게 개발됐다. 포스텍은 오승수 신소재공학과·손창윤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이것’ 고려하지 못했다
과학동아
l
2023.09.02
코로나19 백신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많은 부작용이 보고됐다. 과학자들은 성호르몬이 서로 다른 항체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아이가 ‘작은 어른’이 아니듯, 여성은 ‘염색체만 다른 남성’이 아니다. 의학 연구에서 여성은 오랫동안 배제됐다. 여성을 보호 ... ...
'우주의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 집중 관측한다… 유럽, '체렌코프 천문대' 준비
동아사이언스
l
2023.08.18
감마선 폭발의 순간을 표현한 상상도. ESO 제공 초대형 별의 폭발과 블랙홀 탄생의 비밀을 풀기 위한 차세대 천문대가 오는 2026년 구축된다. 유럽우주국(ESA) 중심으로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체렌코프 망원경 천문대(CTAO)'가 주인공이다. CTAO가 가동되면 통상 인공위성에 의존하던 강력한 '감마선 폭 ... ...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은…아마존강 vs 나일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8.12
아마존강.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아마존강 VS 나일강. 과학자들이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을 찾기 위해 직접 카약을 타고 강의 길이를 잰다고 합니다. 과연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은 어디일까요.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 기네스북과 영국 백과사전은 아프리카의 나일강을 세계에서 제일 긴 강으 ... ...
5억년 전 물곰 조상 찾았다…"몸집 1000배 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9
물곰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지구 최강 생존자로 불리는 물곰의 크기가 5억년 전엔 지금보다 1000배 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극지연구소는 김지훈 박사가 이끈 국제공동연구팀이 현생 완보동물 40여 종과 5억년 전 살았던 엽족동물 화석 형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완보동물의 조 ... ...
NASA도 놓친 지구위협 소행성, 새 알고리즘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8
기존 NASA에서 사용하는 ATLAS는 총 4장의 관측사진으로 천체를 판별한다 .ATLAS/University of Hawaii Institute for Astronomy/NASA 칠레 안데스 산맥 고지대에 있는 베라루빈 천문대가 개발한 소행성 탐지 프로그램이 지구 상공 약 22만km까지 근접한 소행성 '2022 SF289'를 잡아냈다. 22만km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약 ... ...
뇌사자 기증 신장, 국내 최초 로봇 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8.07
국내 최초로 뇌사자 공여 로봇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와 은평성모병원 관계자들이 환자의 퇴원을 기념하는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은평성모병원 제공. 국내 최초로 로봇 수술을 통해 뇌사자 기증 신장을 이식 받은 수혜자가 탄생했다. 은평성모병원은 김수환추기경기념 장기이식병원 신췌장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