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갈
모래알
돌
뉴스
"
작은 돌
"(으)로 총 19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도 모기 잡다 머리 좋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07.02
코스타리카에 사는 ‘카푸친 원숭이’를 5년 간 관찰했다. 이 원숭이는
작은
체구에 비해 뇌의 크기가 커서 영장류 뇌의 진화를 밝히기에 아주 좋은 ... 아니라 연구진의 관측 결과, 카푸친 원숭이는 곤충을 더 쉽게 잡기 위해
돌
과 나무를 이용해 여러 가지 곤충 사냥 도구를 만들어 쓰는 것으로 ... ...
‘2011MD’를 잡아라, 소행성 탐사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06.27
ARM은 우주선을 쏘아 올려 소행성을 지구와 충
돌
염려가 없는 안전한 궤도로 옮겨놓거나 소행성의 ... ‘옵션 B’가 있다. 옵션 A는 지름 10m 이하의
작은
소행성이 타깃이다. NASA는 원통형의 포획망을 쫙 ... 전문가들은 2011MD가 단일 소행성이 아니라
돌
무더기 여러 개가 뭉친 형태일 가능성이 높은 ... ...
[광화문에서] 가습기연구소와 중이염연구소
동아사이언스
l
2014.05.23
망치로
돌
을 때리면 ‘번쩍’ 하는 빛과 함께
돌
부스러기가 튀어나온다. 그 부스러기를 분석하면
돌
이 어떤 성분과 어떤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가속기는 매우
작은
입자로 특정 목표물을 때리면 튀어나오는 부스러기의 성분과 구조를 파악하는 장치다. 망치의 크기는 무지무지 ... ...
서울 하늘에서 소행성을 관측해보자!
동아사이언스
l
2014.04.28
3월은 '우주에서 날아온
돌
' 이야기로 대한민국이 떠들썩했다. 3월 10일 경남 진주의 한 비닐하우스에서 발견된 수박만한 검은
돌
덩어리가 운석으로 밝혀졌고, 전문가들은 이것이 운석 중에서도 분화가 일어나지 않은
작은
혜성이나 우주를 떠도는 암석 덩어리에서 떨어져 나온 미분화 운석이라고 ... ...
오, 제법인데? 초파리 '회피기술'
과학동아
l
2014.04.13
아주 빠른 속도를 유지하면서도 방향을 90도 이상 크게 바꿔 뱅크드턴을
돌
때와 같은 모습을 보인 것. 디킨슨 교수는 "초파리는 1초에 200번 ... '구르는' 것처럼 보일 정도"라며 "초파리의 뇌는 소금 한 알 만큼 아주
작은
크기인데, 훨씬 큰 생물인 생쥐만큼이나 빠르게 도망갈 방향을 설정하고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달의 기원처럼 어떤 천체가 커리클로에 충
돌
한 뒤 파편이 커리클로의 적도면에 분포하게 됐다는 것. 다만 지구 달 충
돌
에 비해 파편의 양 역시 미미해 하나로 뭉치지 ... 소행성과 해왕성 바깥 천체의 약 5%가
작은
동반 천체, 즉 위성을 갖고 있다는 관측에서 비롯한다. 즉 이런 위성들에 우주를 ... ...
태초에 우주는 급팽창했노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25
38만 년쯤 뒤에 빛이 물질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돌
아다니기 시작하는데, 이때의 빛이 바로 ... 것은 아냐 우주가 인플레이션으로 원자핵보다
작은
크기에서 축구공만큼 커졌다. 이 크기의 우주는 ...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중력파는 잔잔한 호수에
돌
을 던지면 물결이 일어 전파되듯이 시공간에 중력의 ... ...
육식공룡이 채식? 통념 뒤집는 공룡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14.02.28
것이 밝혀진 것이다. 위석은 질긴 식물의 소화를 돕기 위한 위 속의
작은
돌
들로 초식이라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이 발견은 2013년 11월 세계척추고생물학회에서 발표돼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관장은 같은 시기에 ‘아시아의 티라노사우루스’라고 불리는 타르보사우루스류의 복늑골(배 ... ...
고루함을 버리고 실용을 택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1
일영표준(日影標準) 표지석(왼쪽)과 금강산의
작은
모델인 석가산(石假山)(오른쪽) - 양길식 제공 ... 石假山)과 일영표준(日影標準) 표지석이다.
작은
돌
들로 조성된 이 석가산은 금강산을 모델로 해서 만들어 진 것으로, 몸은 여기 있지만 마음만은 금강산에 있음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이런 ... ...
화산 폭발시 가장 위험한 것은 용암? 아니 ‘잿빛 폭풍’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보통 ‘화산 폭발’하면 불붙은 채 날아다니는
돌
덩어리와 이글이글 타오르는 용암을 연상한다 ... %에 불과하다. 화산 폭발시 용암이나 날아다니는
돌
덩어리보다 더 무서운 것이 있다는 말이다. ... 현상이다. 바로 용암과 기존 암석이 크고
작은
파편으로 부서진 채 화산 가스와 한 덩어리가 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