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화
전화기
phone
후드점퍼
홀리데이
fawn
phon
스페셜
"
폰
"(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새 종이 나타날지도 모른다. 인류도 마찬가지이다. 아주 오랜 미래에는 손에 스마트
폰
을 들고 태어날 종이 출현할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원숭이와 우리는 오래 전에 서로 다른 길을 걷기 시작했다는 점이 포인트이다. 분기점 이전의 공통조상은 지금의 원숭이도 인간도 아니다. 지금도 진화론 하면 ... ...
기상청장 "기상망명족 등장은 국민 기대 못미친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만든 앱인 'Yr'을 포함해 핀란드, 체코 등의 국가 기상청에서 만든 일기예보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앱)도 자주 사용한다. 기상청장 "개선된 기후예측모델 내년 11월까지 도입 및 운영하겠다" 기상청은 지난 5월 발표한 '여름철 전망'에서 올해 여름 무더위 절정이 7월 말에서 8월 중순이 될 것으로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메모리(RAM) 용량이 필요했지만, 이 기술은 5분의 1 이하인 2GB면 충분했다.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제노포’가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있다. USB 크기만 한 옥스퍼드 나노포어의 유전자 해독장치 ‘미니온’이 읽어낸 데이터를 분석해 30분 만에 코로나바이러스 염기서열을 해독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그 위에 신이 있으면 완벽하다. 근대적인 생물분류법을 제시한 사람은 스웨덴의 칼
폰
린네(1707~1778)였다. 린네는 1735년에 출간한 《자연의 체계》에서 식물을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했다. 이 책의 초판은 12쪽이었으나 훗날 개정판에서는 천 쪽이 훨씬 넘을 정도로 방대해졌다. 이후 1746년에 출간한 ... ...
구글맵 코로나19 환자수 정보 제공 시작…한국 지도 반출 불가로 제외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구글은 23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를 통해 스마트
폰
에서 구글맵 애플리케이션(앱)에 ‘코비드 레이어’를 추가할 계획이며, 이번 주 중 업데이트를 통해 이를 실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구글맵 오른쪽 상단에서 ‘코로나19 정보(COVID-19 Info)’ 레이어를 클릭하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수두파티, 그리고 코흐
2020.09.17
이용한 파상풍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었다. 3년 뒤인 1888년 코흐의 연구실에 에밀 아돌프
폰
베링(1854~1917)이라는 신참 연구원이 들어왔다. 베링은 디프테리아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기타사토가 같은 연구실 선배였으니까 기타사토가 활용했던 혈청 치료법에 베링도 관심을 가지고 디프테리아에 ... ...
[뉴스속으로]중국은 왜 천인계획에 그토록 공을 들였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충격을 안겼다. 장 박사가 자살한 날은 중국을 대표하는 세계 최대 통신장비·스마트
폰
제조업체인 화웨이의 부회장 겸 글로벌 최고재무책임자(CFO)인 멍완저우가 캐나다 경찰에 체포된 날로, 장 박사가 화웨이뿐 아니라 중국 정부와도 사업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만큼 그의 자살에 미 ... ...
[과학게시판]국립중앙과학관, 슬기로운 과학생활 화학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동시 접속자 수는 1000명이다. Vmeeting은 컴퓨터와 iOS와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 모든 스마트
폰
에서 사용할 수 있다. 활용을 원하는 학교의 경우 해당 이메일로(vmeeting-info@postech.ac.kr)로 연락하면 된다 ... ...
감염성 병원균 눈으로 보고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방식이다. 육안으로 이를 관찰해 병원균의 내성 종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고 스마트
폰
등 모바일 진단이 가능한 기술이다. 연구팀은 또 커피링 현상에 ‘회전 환 증폭’ 기반의 등온 증폭기술을 융합했다. 긴 단일 가닥의 표적 DNA 물질이 직경 0.1~1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크기로 응축될 수 ... ...
'출근자 많으면 확진자 늘어난다' 코로나19 방역에 도움 주는 데이터과학
2020.09.04
인식되는 스마트
폰
위치 데이터가 많은 지역일수록 감염병 확산이 빠르게 일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구글 블로그 제공 정부가 8월 중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확산하자 같은 달 19일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조치를 시행했다. 거리두기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