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간"(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사과나무' 강연에서 말했다. "3차원 공간으로서 바다는, 지구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공간의 99%를 차지합니다. 발견된 생물은 140만 종인데, 아직 발견되지 않은 2000만 종이 바닷속에 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7800만km 떨어진 화성보다, 최대 깊이 11km에 불과한 해저에 대해 아는 게 더 없습니다. 이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반사경의 이동과 관리가 쉽다는 것이 큰 장점이에요. 그래서 달 표면이나 우주 공간에 망원경을 세울 때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어요. 현재 6m 구경의 액체거울망원경인 LZT(Large Zenith Telescope)가 캐나다 밴쿠버에서 가동 중이랍니다.한편 2010년부터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개발 중인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하지 않나.A. 맞다. 그래서 비행 배경도 도시의 빌딩이다. 인간이 가장 익숙하고 잘 아는 공간이 도시니까. 우리 머리 위바로 10m에서 비행하도록 했다. 평소에도 충분히 상상하고 꿈꿔볼 수 있는 경험을 주기 위해서.Q. 시뮬레이터를 개선하면 실재감을 더 크게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아래로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대리가 종종 쉬러 가는 옥상정원을 생각해 보자. 칸칸이 나뉜 사무실과 달리 비교적 너른 공간에 시야를 막는 것이 없으니 첫째 조건은 만족한다. 게다가 고층건물의 옥상은 두 번째 조건에 해당하는 절벽 끝이나 산꼭대기와도 비슷하다. 늘 음료와 간식거리를 먹을 수 있고, 작은 분수 주변에 나무도 ...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우주 공간이 어떻게 휘어 있을지 상상해내는 것과 비슷하다. 이때 우주는 추상적인 공간이고, 별은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도형이라고 할 수 있다.니렌버그 교수도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하학적 성질을 밝혔다. 바실리스 기다스 미국 브라운대 교수, 웨이 밍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물체의 길이는 줄어들고 시간은 평소보다 천천히 흐릅니다.아인슈타인의 상상력은 시공간을 넘어 에너지에 이릅니다. 빛의 속도에 가깝게 달리는 기차에 계속 연료를 공급하면 어떤 일이 생길지 궁금해진 겁니다. 이제 속도는 더 빨라질 수 없으니, 무언가 다른 일이 벌어져야 했죠. 아인슈타인은 ... ...
- [Photo] 수집가의 로망 ‘잉카의 장미’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잉카로즈(rose)’였다. 하지만 이 보석은 정말 얻기 어렵다. 주로 심성암 광맥의 텅 빈 공간에서 발견되는데, 채굴하려면 바위를 하나하나 조심스럽게 깨야 한다. 이러다 보니 지금은 더 이상 나오지 않고 있고, 그나마 있는 것들은 점점 귀한 몸이 되고 있다. 사진 속 능망간석은 미국 콜로라도주 ... ...
- [Fun] 상대성이론에서 전율을 느껴본 적 있나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상대성이론을 처음 어렴풋이 이해했을 때 느꼈던 전율을 잊을 수 없다. 세상에, 시간과 공간이 절대적인 게 아니라니! 엄청난 가치관의 혼란을 겪으며 내가 보고 겪은 세계 자체를 의심하게 됐다. 머릿속에서 우주를 통째로 새로 그려야 했다. 그날은 유독 밤하늘이 가까워 보였다. 어떤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아인슈타인이 1905년에 발표한 논문 ‘움직이는 물체의 전기역학에 관하여’는 처음에 그리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당시 독일 물리학계의 ... 중력이론을 얻은 것이다. 이제 남은 것은 이 새로운 중력장방정식을 풀어서 시간과 공간의 근본적인 모습을 밝혀내고 이를 해석하는 일이었다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연도를 저장할 때 ‘1970’이라고 저장하지 않고 ‘70’이라고 저장했다. 컴퓨터 저장 공간을 아끼고, 데이터처리에 드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다.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앞에 두 자리를 더하는 것이 어려운 일은 아니었지만, 이전의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같은 표기법을 사용했다. 이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