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아주 복잡해서 그림으로 나타내도 제대로 알아보기가 힘들어요. 하지만 식으로 나타내면 비교적 이해하기 쉬워지고, 컴퓨터로 시뮬레이션도 해볼 수 있어요. 실험에 드는 비용과 시간도 절약할 수 있어요.생물학자와 함께 일하는 건 어떤가요?생물학자에겐 생물학 용어를 써야 해요. 미분방정식이 ... ...
- [News & Issue] 아이 계획 있다면 남편 다이어트부터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마른 남성 13명과 비만인 남성 10명의 정자 세포에서 후천적으로 바뀐 유전정보를 비교했다. 그 결과 비만 남성에게서는 뇌 발달과 식욕 조절에 관계된 유전자에서 DNA메틸화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DNA메틸화는 유전자의 형질 발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아버지의 식욕이 아이에게 ...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바이오뱅크에 보관된 신생아의 건조혈반을 이용해 조현병 환자 424명과 정상인 424명을 비교했다. 그 결과 혈반 내 비타민D 수치가 낮았던 늦겨울~초봄 신생아가 어른이 돼서 조현병 환자가 된 비율이 높았다. 이런 연구결과들이 알려지면서 ‘임산부에게 꼭 필요한 비타민D’라는 공식이 완성됐다.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정말 많이 줄어들까. 익룡의 이빨이 아무리 크고 단단하다 해도 몸 전체의 무게와 비교하면 그리 무겁지 않다. 게다가 이빨의 퇴화가 비행에 이롭다면 다른 익룡도 이빨이 없어지는 방향으로 진화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익룡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 요즘 과학자들의 생각은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만드는 데도 쓰인다.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핵폭탄이 떨어지기 전(왼쪽)과 후(오른쪽)를 비교한 사진.도시가 폐허가 됐다.표준모형, 그리고 그 너머다시 김 대리의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우리가 무언가를 만질 수 있는 이유는 우리 몸과 사물을 이루는 원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 상호작용 ... ...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서강대 교수에 의뢰해 제작한 ‘한국형 담배경고그림 10종’ 중 일부다. 물론 이 두 장은 비교적 충격적이지 않지만, 한 온라인 투표에서 1, 2, 3위를 차지한 폐암, 후두암, 영유아, 사진은 이곳에 싣지 못할 만큼 충격적이다. 최종 담뱃갑 경고그림은 2016년 상반기에 고시될 예정이다.미국 캘리포니아 ... ...
- [가상 인터뷰]킬리피시가 빨리 죽는 건 유전자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명이 긴 브랜트박쥐, 북극고래,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유전자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했지요. 그 결과 기존 연구에서 수명과 관련 있다고 보이는 유전자들과 킬리피시가 변화시킨 유전자들이 대부분 일치했답니다.또한 연구팀은 수명이 각기 다른 킬리피시는 인슐린과 관련된 유전자인 IGF1R의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회전하는 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회전 속도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다는 사실을 1970년대에 밝혀냈다. 하지만 만유인력 법칙에 따르면 은하 주변부로 갈수록 별들의 회전 속도가 느려져야 한다. 따라서 이를 설명하려면 직접 관측되지 않은 질량이 있어서 중력의 효과를 ... ...
- 유정란VS무정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정답은 ‘그렇지 않다’예요. 지난 4월 농촌진흥청에서 유정란과 무정란의 영양을 비교해 본 결과 단백질과 지질, 탄수화물 등의 양에 차이가 많지 않았어요. 오히려 단백질은 무정란에서 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 ...
- 연꽃잎으로 메타물질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적게 넣어 표면이 1600N/m 이하의 힘을 받으면 풍선 표면에 두세 개의 균열만이 발생하며 비교적 큰 조각들로 갈라졌어요. 반면 공기를 많이 채워 표면이 2170N/m 이상의 힘을 받는 경우, 힘의 크기가 커질수록 균열의 갈래도 늘어나 풍선이 40갈래 이상으로 갈라졌답니다.세바스티앙 물리네 박사는 “이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