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지닌 물질을 찾아냈다. 바로 메탄이다. 전기원 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촉매연구
센터
장도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메탄올(CH3OH)을 만드는 실험에 성공해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메탄올은 고급 휘발유 첨가제나 포르말린, 바이오디젤 등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물질이다.전기원 박사팀이 메탄올을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하노이에 추가로 해외자원거점
센터
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센터
장은 “해외자원거점
센터
가 많이 생기는 만큼 식물 자원에 관심이 있는 연구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며 “과학동아 독자들 중에서 멋진 식물 자원 연구자가 나오는 것도 기대해본다”고 덕담을 건내기도 했다. *이벤트는 ... ...
기후변화: 사회기반시설물의 하소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교수로서 사회기반시설물 연구 기술을 발전시키는 기후변화 적응형 사회기반시설 연구
센터
(GIT4CC)를 이끌고 계시는 정상섬 교수님을 만나봤다. 우리는 먼저 교수님께서 기후변화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 중에 사회기반시설물에 관심을 가지신 이유를 여쭤봤다. “기후 변화로 인한 문제점들 중 ... ...
우리나라 세 번째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3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5월 18일 새벽 1시 39분 일본 규슈 남단의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에서 발사한 우리나라 세 번째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3호’가 궤도에 진입했어요. 국토와 자원을 관리하거나 재난을 감시하려는 목적으로 고해상도 사진을 찍기 위해 전자광학 카메라를 업고 올라갔어요. 6월 중순에는 첫 위성사진을 ... ...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KSR-Ⅲ는 1단 엔진만으로 고도 42km까지 올라갔다. 고도가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관제
센터
와 로켓이 정확히 교신하는지를 KSR-Ⅲ를 발사하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컴퓨터를 통해 비행 궤도를 KSR-Ⅲ에 입력시켜 놓는데 이를 정확히 수행한 것이다.이제는 경제적인 로켓엔진이 뜬다75t급 한국형 발사체가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하나씩 가지고 있었다.타카오키 카사하라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뇌과학종합연구
센터
박사는 조울증(양극성장애)을 연구하고 있다. 조울증은 기분이 좋았다 나빴다 하는 질병이다. 세포안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미토콘드리아에 이상이 생기면 걸린다고 알려져 있다. 카사하라 박사가 ... ...
연료전지 2020년 실용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주행 중에 충전돼 에어컨 등 필요한 부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에틀 촉매연구
센터
의 또 다른 연구분야는 이산화탄소 재자원화다.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속 탄소를 이용해 탄화수소 등 실용적인 탄소 함유 분자로 만드는 기술이다. 세계적인 환경문제가 된 이산화탄소 공해 ... ...
Part 2. 우리 이렇게 살고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사라져버린 새들도 있다. 황새와 따오기다. 교원대 황새복원연구
센터
와 우포따오기복원
센터
에서는 한반도에 이들의 모습을 다시 보여 주기 위해 복원을 진행하고 있다. 철새는 강한 귀소본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단 성공하면 매년 반가운 얼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2마리와 암컷 15마리, 총 17마리(중국에서 들여온 한 쌍 제외)가 경남 창녕 우포따오기복원
센터
에 있다.언뜻 보면 알겠지만 수컷의 수가 부족하다. 암수 균형이 맞지 않다. 또 모든 개체가 처음 들여온 암수 한 쌍에서 나왔기 때문에 유전적 다양성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가계도 참조). 그렇다고 ... ...
Part 2. 유기농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논문이 나오고 바로 그 날 발표된 찰스 벤브룩 미국 워싱턴대 지속가능농업및천연자원
센터
교수의 논문은 “단기간의 영양 평가로 의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날 수 없다”며(스탠퍼드대 연구에는 장기 연구가 포함돼 있지 않다),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논문을 보면 유기농 식품은 기형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