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몇 분 간격으로 오는지 등을 알려 주는 시스템이에요. 도로의 신호등을 언제 얼마나
오래
켜야 하는지, 어디까지 가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등을 계산해 운전자에게 알려 주는 일 등도 여기에 포함돼죠.”지능형교통체계란 한 마디로 말해 똑똑한 도로라고 할 수 있어. 도로 위의 교통량이나 속도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친척끼리 교배를 하는 근친교배가 일어날수 있어요. 그러면 유전적 돌연변이가 생겨
오래
살지 못하고,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지죠. 또 개체 수가 적으면 그 만큼 멸종 위험도 크고요. 수를 충분히 늘린 후에는 자연으로 돌아가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야생의 서식처와 비슷한 환경에 서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물의 막)을 만들기 때문. 열 전도성이 낮으면 열이 날로 흡수되지 않으므로 수막이 더
오래
남아 있는다. 주목할 선수 '피겨스케이팅 김연아 20·고려대'‘피겨여왕’의 우승 세리머니가 밴쿠버의 얼음판 위에서도 펼쳐질 것인가. 2006년 시니어 무대에 데뷔한 이후 참가한 대회에서 메달을 목에 걸지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번식을 막아준다. 첨가제인 닥풀은 한지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더한다.질기고
오래
가는 비밀종이에 구멍을 낸 다음 잡아당겼을 때 어느 정도의 힘까지 버티는가를 측정하는 것을 ‘인열강도’라 한다. 높은 수치를 보일수록 질긴 종이가 되는데, 섬유 폭이 좁은 삼지닥나무를 사용해서 만든 ... ...
얼음요정이 사는 세계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없는 깨끗하고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어.와, 어떻게 그런 것도 알아? 그런데 바깥에
오래
놔두어도 얼음은 왜 녹지 않지?여기가 엄청 추우니까 그렇지. 물론 아주 무겁게 눌러 주어도 얼음이 녹긴 해. 하지만 이 조각상의 밑부분은 무겁게 눌리는데도 많이 녹지 않았지? 공기방울 같은 불순물이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떡국에는 떡시루에서 찐 떡을 길게 뽑아 만드는 가래떡처럼
오래
살면서 행복과 재산도 쭉쭉 늘어나라는 뜻이 담겨 있다.옛날 궁궐에서는 가래떡을 똑바로 썰어 동그란 모양의 떡국을 만들었다. 하지만 가난한 일반 백성들은 떡을 크게 보이게 하려고 가래떡을 비스듬히 ... ...
아름다움의 공식, 황금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수 있다. 세심한 관찰을 통해 황금비를 발견해 보자~.상징하는 도형별 모양의 도형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상징물로 쓰였다. 지금도 여러나라의 국기에서 별 모양의 문양을 찾아볼 수 있다. 모양 또한 뾰족한 부분이 5개에서부터 많게는 12개까지 다양한데, 각각 무엇을 상징했을까? 5각형 별은 별을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왔다. 하지만 현재 가축으로 키우고 있는 14종 말고는 대부분 너무 일찍 죽거나 너무
오래
성장하는 등, 가축이 될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다.▼ 호주의 야생개 ‘딩고’는 4600년~1만 800년 전에 호주에 온 뒤야생으로 돌아가 지금은 가축이 아니다(왼쪽). 개들도 사람이 사라지면 1만 년 뒤에는 이런 ... ...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덮인 휘슬러 산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해요. 내 이름은 ‘수미’,
오래
전부터 이 산에 살고 있던 동물의 수호신이야. 이번에 콰치 형이랑 같이 올림픽 마스코트를 맡게 됐지. 난 산 속에서 스키를 타는 걸 좋아해. 스키는 땅에서 모터의 힘을 빌리지 않고 가장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스포츠거든. 이번 ... ...
외국인 음성 인식하고 생생한 현장 소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어폰은 내가 원하는 소리를 간편하게 이동하면서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오래
듣고 있으면 머리와 귀가 멍멍해지거나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하곤 한다. 왜냐하면 이어폰에서 나오는 소리가 정수리나 귀 부근에 맺혀 자연스러운 울림과 잔향을 느끼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