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개월"(으)로 총 2,32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PIMS 소프트웨어 7과학동아 l1993년 10호
- PIMS 프로그램만큼 종류가 다양한 소프트웨어도 드물것이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선택의 기로에 놓여서 막상 찾아보면 쓸만한 게 없다고 입을 모은다. 100%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가능성이 엿보이는 국산 소프트웨어와 외국제품을 함께 소개한다.명인 기존 명함관리기능 대폭보강●개발회사 : 피코 소 ... ...
- 동요의 가사 속에만 남아 있는 따오기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따오기의 먹이는 개구리 민물고기 가재 우렁이 등인데, 1960년대 이후 산업화의 물결로 인해 수질과 토양이 오염돼 절멸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농약 과다사용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인다.따오기는 1968년 5월30일 천연기념물 제198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절종위기의 조류다. 19세기 말 한국을 답사 ... ...
- 우리별 2호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국내에서 우리 연구원들 손으로 만들어진 우리별 2호가 9월23일 발사된다. 우리별 2호는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1호와의 차이는 무엇일까.92년 10월 13일 프로젝트의 시작을 선언하는 개시회의를 시작으로 이곳 대덕에서 제작된 우리별 2호가 이제 9월 23일 발사 예정(주위성인 스풋위성과 기타 상황에 따 ... ...
- '93 대전 엑스포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엑스포의 목적은 '일반대중의 교육'에 있다. 인류의 노력에 의해 성취된 발전성과를 전시하고 미래에의 전망을 보여주어야 한다.과학기술올림픽이라 불리는 93대전 엑스포가 8월7일부터 11월7일까지 3개월 동안 개최된다. 우리나라를 비롯1백12개국과 28개 국제기구가 참가하는 대전엑스포는 '새로운 ...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과학동아 l1993년 08호
- 망원경으로 태양을 관측하는 것은 항상 예상치 못한 위험이 따른다. 주의사항을 잘 지켜 태양표면의 흑점을 관측해보자.태양은 다른 천체와는 달리 대낮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척 크고 밝아서 비교적 작은 망원경으로도 태양의 표면모습과 흑점의 변화 등을 충분히 관측할 수 있는 유일한 항 ... ...
- 3. 국내업체들, 잠재수요 겨냥해 독창적 서체 개발 경쟁과학동아 l1993년 08호
- PC와 고급 프린터의 사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일반 PC사용자들도 높은 품질의 출력물을 얻으려는 욕구가 강하다. 이에 따라 이전까지는 출판 전문가나 인쇄업 종사자의 관심대상이던 폰트가 일반 PC사용자들 사이에 새로운 관심거리로 등장하고 있다.최근 워드프로세서나 DTP(탁상출판시스템)에는 보 ... ...
- 제주도에서는 이미 절종된 멧돼지과학동아 l1993년 08호
- 멧돼지는 포유류로 우제목(偶蹄目) 멧돼지과 멧돼지속에 속하며 북쪽에는 대륙멧돼지(Sus scrofa ussuricus), 남쪽에는 멧돼지(Sus scrofa coreanus)의 한국특산 아종이 있는데, 제주도에서는 절종된지 오래다. 멧돼지는 암수 같은 색이며 모양도 비슷하나 수컷이 크다. 목이 짧고 다리도 짧으며 눈이 작고 귀 ...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지각은 깊이 침강하여 용암의 플룸에서 솟아오르며, 이 순환이 완성되는 데는 수백만년이 걸린다.지구물리학자들은 최근 지구 내부 열기관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있어 두드러진 진전을 보였다. 근착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지구물리학자들은 지난 수개월을 거치면서 해저를 구성하는 거대한 ...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과학동아 l1993년 07호
- 태양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전 정보가 필요하다. 태양표면에서 일어나는 홍염 코로나 플레어 등을 살펴보고 흑점이 변화하는 이유를 알아보자7월, 여름이 되면서 날씨가 찌는듯이 점점 무더워져 간다. 그러면 겨울이나 찬바람 불던 봄날, 따듯함을 더해주던 태양을 좋아했던 일은 기억에서 ... ...
- 지구과학- 수소폭탄보다 강력한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과학동아 l1993년 07호
- 거대한 에너지덩어리 태풍은 어디서 발생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 발달하는 것일까. 태풍을 순화시키는 방법은 없을까.여름하면 불볕더위와 태풍을 생각하게 되는데, 기상청의 올 여름 날씨 전망을 보면 올해 장마는 예년보다 1주일 가량 늦은 7월말 경에 끝날 것이라고 하며, 태풍은 이번 달 하순부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