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대학교가 수학으로 유명해지기 시작한 건 클라인을 교수로 초빙하면서부터였다. 1886년 수
학과
교수가 된 클라인은 수학을 물리학이나 공학에 응용하는 데 관심이 컸다. 그 당시 우수한 수학자들 중 상당수가 공학자 출신이었기 때문이 었다. 그는 이 부분을 괴팅겐 대학교가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해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그때 필요한 수학을 배우는 거죠. ‘앵그리 버드’를 이용해서 수
학과
물리를 가르치는 프로그램도 있어요. 우리나라에도 이런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죠? 앞으로 저도 게임 데스크와 같은 일을 하고 싶어요. 이제 게임 중독자가 돼서는 게임 개발자가 될 수 없는 걸 알겠죠 ... ...
별별 데이터 세상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래리 페이지와 같은 데이터과학자를 꿈꾸며 도전하는 청년이 있다. 바로 서울대 산업공
학과
박사과정 중인 박은정 씨다. 박은정 씨는 지난 해 뜻이 맞는 사람들과 함께 팀을 이뤄 삼성전자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한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투모로우 솔루션'에 참여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그 성격이 달라지는 일종의 문화랍니다.‘죽을 운명’을 타고난 아기미국 UC 버클리 인류
학과
낸시 쉬퍼 휴즈 교수가 쓴 ‘아무도 슬퍼하지 않는 죽음’은 출산과 모성에 대한 가장 충격적인 보고서 중 하나예요. 저자는 1965년부터 1980년대까지 브라질 북동쪽의 빈민가에 거주하면서, 이곳에서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연구팀이 그만큼 확신에 차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김승환 포스텍 물리
학과
교수는 “연구팀이 하루라도 빨리 대중에게 알리고 싶어 기자회견을 미리 연 것 같고, 네이처 발표도 시기의 문제일 뿐 큰 문제없을 거라고 본다”며 “워낙 우주배경복사에 대해 오랜 시간 연구를 해온 팀이었으니 ... ...
[과학뉴스] 공대에 웬 커피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부족하다”고 말했다. 커피센터는 커피에 대해 학문적으로 정립하고, 장차 ‘커피과
학과
’와 같은 세부전공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이 곳이 첫 번째 커피연구소는 아니다. 이미 미국 텍사트A&M대에서 세계커피연구소를 세워커피농업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UC데이비스빌 라이스텐파르트 교수는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나중에 그곳에서 산딸기를 먹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는 얘기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
학과
스티븐 핑커 교수는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라는 저서에서 “자연선택은 식물학자의 재능이 있는 사람들 편이었다”고 밝혔다.시간이 흘러 꽃은 인간의 욕망을 더욱 진하게 유혹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 ...
“최고 과학자들과 협력하는 것이 돈 버는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원인을 밝히는 연구에 기부하는 것은 물론, 가족 DNA를 연구용으로 제공했다.“수
학과
물리학 같은 기초과학 연구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기초과학 없이는 첨단기술과 공학은 불가능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사이먼스 재단 기금의 90%는 기초과학 연구 지원에 힘쓰고 있어요.”그는 과학자를 꿈꾸는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영장류 사회에서 종종 목격된다. 박한선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 전문의(서울대 인류
학과
연구원)는 “과대망상적이며 편집적 성향을 가진 사람이 기존 집단에 대한 불만을 고조시키고 분쟁을 조장한다”며 “집단 내 자원이 부족해 갈등이 일어나는 시점에는 이런 성향의 지도자가 출현하기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인류 역사와 함께한 가장 오래된 학문건설공학은 상하수도나 교량, 댐, 터널, 도로 등 사회기반시설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인류가 자연재해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안전한 삶의 터전을 가꾸기 위해 개발한 토목기술이 건설공학의 뿌리입니다. 마실 물과 농사에 필요한 물을 얻기 위해 수로를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