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오디오 도슨트 '모모'와 전시 감상공유 앱 '모이',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19일 밝혔다. 데이터를 저장매체 내
크기
가 고정된 블록 단위에 저장하는 대신 블록
크기
를 유연하게 바꾸는 키-값 인터페이스를 구현했다. 연구결과는 컴퓨터 시스템 분야 학회 ‘USENIX OSDI 심포지엄’에서 14일 발표됐다 ... ...
열대야에 몸 젖는 밤, 땀으로 전기 만든다...10시간 자고나면 손목시계 하루 사용량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연료전지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줄 '에 13일 공개했다. 이 연료전지는 어른 엄지손톱
크기
인 1cm²정도로 얇은 필름막 형태로 반창고처럼 피부에 붙일 수 있다. 왕 교수는 “손가락 끝에 이 연료전지를 붙이고 10시간 동안 자고 일어나면 최대 400mJ(밀리줄)의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고 밝혔다.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마리의 매미가 떼 지어 있는 셈이다. 매미들이 일시에 땅 위로 올라와 부르는 ‘떼창’의
크기
는 사람들의 상상을 뛰어넘는다. ○ 유독 개체수 많은 브루드 텐 북미 지역에서 서식하는 주기매미는 무리(브루드)를 지어 매년 다른 지역에서 출몰한다. 이들 15무리에는 출몰하는 해와 지역에 따라 ... ...
[표지로 읽는 과학] 측정하는 순간 상태 바뀌는 까다로운 양자, 빛으로 붙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7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5일 지름 15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
의 유리 나노입자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표지 가운데에는 현미경 대물렌즈 위로 유리 나노입자가 마치 점처럼 허공에 떠있다. 빛으로 작은 입자를 포획해 붙잡아두는 ‘광 포획’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최근 ... ...
[우주산업 리포트]호주는 왜 우주개발에서 국제협력을 강조할까
2021.07.16
이점을 활용한 우주상황인식(SSA) 과 관련한 지상 인프라에 찍혀있다. 한반도에 35배
크기
인 광활한 영토에 퍼져있는 지상국과 안테나를 이용해 인공위성이 보내오는 정보의 수집과 분석 그리고 날로 증가하는 우주 쓰레기에 대한 추적감시를 포함한 우주상황인식(SSA) 분야에서 경쟁력을 ... ...
삼성·SK, 메모리 반도체 미래로 소셜·스마트·개방 제시(종합)
연합뉴스
l
2021.07.15
확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도체 업체들이 기존에 주력해온 본연의 가치인 칩
크기
축소 뿐만 아니라 환경 등 사회적 가치, 인공지능(AI) 등 차세대 기술과 연결된 혁신적인 메모리 솔루션까지 갖춰야 이전과는 다른 '비욘드 메모리(Beyond Memory)' 혁신을 주도한다는 설명이다. 이 사장은 "이러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처한 환경에 따라 특정 형질의 진화 속도가 다르고 같은 종이라도 개체 사이의 차이가 꽤
크기
때문이다. 화석을 손상시킬 수 없다는 이유로 게놈 분석을 시도조차 하지 않고 여러 고인류학자들이 인정하지 않는 형태 비교 기법으로 얻은 결과를 담은 논문이 ‘혁신’이라는 이름의 학술지에 ... ...
칠레·페루가 세계 최대 구리 광상 보유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않은 이유가 지구과학적으로는 지각의 두께 차이 때문”이라며 “반암형 구리 광상의
크기
뿐 아니라 금 함량도 지각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
고대 지구에 1천500만년에 한 번꼴로 공룡대멸종급 소행성 충돌
연합뉴스
l
2021.07.09
한 번꼴로 지구와 충돌했다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일부 소행성이 도시
크기
만한 것부터 작은 주(州)에 달할 정도로 컸을 수도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고대 암석에 박혀있는 작은 알갱이인 "소구체"(小球體·spherules)에서 실마리를 찾았다. 거대한 충돌이 일어나면 용융된 암석 ... ...
메타버스에서 쇼핑할 땐 이 안경 쓰시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만들 수 있다”며 “두께를 1cm 이하로 만들기 어려운데 이번에 4mm로 줄였고,
크기
도 0.8인치로 소형화에 성공해 시야각과 성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말했다. ETRI는 2017년 야간 작전 수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군용 AR 기기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또 2018년에는 레티널과 손잡고 저시력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