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젓갈
횡적
d라이브러리
"
저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가 세계를 비추다
과학동아
l
200505
정각 중국 베이징으로 떠났다.빛의 축제 운영위원장으로 태평양을 건너 온 빛을 제일 먼
저
받은 부산대 물리학과 한창길 교수는 "빛을 평양으로 보내지 못해 아쉽다"며 "아인슈타인의 빛에 통일의 염원까지 담았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05
‘백화’ 현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지난해 6월에는 청정해역으로 알려진 독도마
저
갯녹음이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사람들에게 많은 충격을 줬다.갯녹음은 해조류를 먹는 해양 동물이 지나치게 많거나 곰팡이가 바다로 유입돼 해조류의 서식을 방해하면서 나타날 수 있다. 또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05
결과밖에 안된다”고 충고한다. 성급한 조기교육보다 자녀의 뇌 발달을 이해하는 게 먼
저
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한다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4 TV, 기억을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05
말만 되풀이한다. 40km 떨어진 곳에 가장 가까운 공항이 있다. 이 상태로 거기까지는 도
저
히 갈 수 없다. 반디를 믿고 바로 착륙을 시도할밖에. 아르헨티나 항공 소속 여객기 조종사는 살아남으면 자신에게 다시 교신하라는 말을 남겼다. 나는 살아남을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핸들과 페달 조종 ... ...
아폴로 vs 챌린
저
과학동아
l
200505
196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쏘아올린 아폴로 11호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했다. 이로써 미국은 우주개발 경쟁에서 소련을 제치고 선두 지위를 ... 지구로 귀환하던 도중 폭발해 NASA는 또다시 우주왕복선 폭발이라는 망신을 당했다. 챌린
저
호의 교훈으로 부족했던 것일까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05
개에게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도 알고 있었다. 동물과 대화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먼
저
그 동물이 잘 따라할 수 있는 소리가 무엇인지 알고, 지속적으로 비슷한 소리를 건네 보자. 그 종만의 특이한 언어로 소통해왔던 동물들이 우리에게도 말을 걸어올 것이다. 까복이가 사람의 음성으로 “까”하고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05
“국가정보원 지하실에 외계인의 시체가 묻혀 있다는 비밀 아세요?”‘블랙홀 박사’로 유명한 박석재(48) 한국천문연구원 박사 맞아? 박 박사의 ... 왜 우리 고장 별은 없습니까. 우주를 우리 것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저
는 한국인의 잠재력을 믿습니다. 우주 민족 아닙니까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04
움직임이 더 빠르다. 즉, 1년 뒤 지구가 다시 제자리에 돌아왔을 때 화성은 이미
저
멀리 달아나고 없다. 지구는 그 화성을 쫓아가야 한다. 결국, 화성보다 조금 더 빠른 지구가 따라잡게 되는데 그 시간은 무려 2년 2개월이나 걸린다. 즉, 외행성일 경우 회합주기는 지구에 가까운 행성일수록 오래 ... ...
2. 디자인의 진화심리학
과학동아
l
200503
답을 제시한다.
저
쪽에서 호랑이가 달려오면 싸우든지 줄행랑을 쳐야지 ‘이 생각
저
생각’했다가는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급할 때일수록 ‘아무 생각이 나지 않는’ 이유다.문제는 이렇게 진화한 마음의 구조가 현대생활에서는 오히려 부적절하다는 것. 맹수가 쫓아올 때와 마찬가지로 ... ...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02
궁금증을 갖고 있습니다.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져 있나. 왜 우리는 여기에 존재하나.
저
는 과학이라는 창을 통해 이에 대한 답을 구하고 있습니다.”김 교수는 이런 근본적인 의문에 답하는 연구에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늘 행복하고 행운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