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행성들을 닮지 않은 것만은 사실이다.위성 카론이 발견된 이후 이 위성의 명왕성 주위
궤도
가 알려지면서 명왕성의 질량도 어느 정도 정확히 추측할 수 있게 됐다. 명왕성의 질량은 지구 질량의 0.26%에 해당 하는 1.5X${10}^{22}$㎏이다. 이는 달 질량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명왕성의 크기는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으므로 정확한 타원이 되지 않는다. 이때 이 힘을 섭동력이라 부른다. 인공위성의
궤도
도 지구 적도부의 부풀음과 대기저항, 달과 태양의 인력 등에 의한 섭동을 받고 있다.대기권의 온도지표와 맞닪아 있는 대류권에서는 1km 상승할때마다 5~6℃씩 기온이 하강한다. 고도 20km를 넘어 성층권에 ... ...
토성의 테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들의 가장 최근의
궤도
교환은 지난 1990년 1월에 있었다.요더씨는 이 위성들이 어떻게
궤도
교체를 하는지를 관찰한 뒤 이 별들의 밀도는 1cc당 0.7그램 이하라고 결론지었다. 이 밀도는 타 위성들의 밀도보다 훨씬 낮은 것이며 청결한 얼음보다도 낮은 것이다.결과적으로 이 위성들은 다름아닌 ... ...
탄소원자핵의 12개 핵자가 기본단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관한 새로운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탄소원자핵을 충돌시키면 어느 순간 서로 다른
궤도
를 도는 두개의 원자핵을 가진 수명이 짧은 중간체가 만들어진다. 이 중간체는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와 비슷한 점이 있어 '원자핵분자'라 명명됐다.원자핵분자의 수명은 ${10}^{-20}$초. 핵자가 원자핵을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바뀐 후 다시 원형으로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10만년 정도다. 우리는 지금 지구공전
궤도
가 원형에 가까운 기간에 살고 있으며, 따라서 연교차가 이심률이 큰 시기에 비해 적다. 둘째로 세차운동은 팽이가 돌 때 위에서 보면 그 축이 원을 그리며 돌듯이 지구의 자전축도 원을 그리며 돈다는 것인데 그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서편에 있을 때의 최대이각을 각각 동방최대이각, 서방최대이각이라고 부른다. 행성들의
궤도
는 거의 원에 가깝기 때문에 동방최대이각과 서방최대이각은 크기가 같고, 수성의 경우는 약 28°, 금성의 경우는 약 48°가 된다.최대이각은 흔히 천문학 교육 과정에서 (그림3)과 같이 강의된다. 하지만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찌그러진 타원이다. 이는 태양 주위를 도는 혜성
궤도
와도 흡사하다. 이러한
궤도
때문에 네레이드가 해왕성에서 가장 멀 때는 가장 가까울 때 거리의 5배나 된다.네레이드를 비롯한 나머지 여섯개의 위성들은 자세한 탐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서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치촌 분출의 영향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6월에 눈이 내리고지구의 기후는 지구
궤도
요소의 변동이나 태양에너지 변동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변할 뿐만 아니라, 대기중의 탄산가스 메탄 에어로졸 등 구성성분들의 양적 변화와 같은 내부적 요인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내부적 요인은 또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케풀러의 법칙케플러의 법칙이라 하면 △행성은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
를 그리면서 공전하며(1법칙) △같은 시간에 움직인 행성의 면적속도는 일정하며(2법칙) △행성 공전주기의 제곱은 태양으로부터의 평균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한다(3법칙)는 세가지 법칙을 말한다. 1, 2법칙은 화성 ...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소련은 An-225를 사용해 HOTOL을 고도 9km에 마하 0.8에서 공중발사해 7t화물을 저고도
궤도
에 진입시킨 후, 활공으로 일반 활주로에 수평착륙하는 무인 비행체 개념을 공동으로 검토하도록 계약을 맺었다. 공중에서 발사되므로 이경우 HOTOL의 양력은 적어도 된다. 따라서 HOTOL의 날개 크기가 작아지며 또한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