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통
총체
보편
전반
일반담보
담보
일반심리학
d라이브러리
"
일반
"(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확률이 높대. 미국의 과학자의 조사에 따르면 이란성 쌍둥이를 출산한 여성의 평균키가
일반
여성보다 3㎝나 더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지. 이란성 쌍둥이 친구들은 엄마의 키가 얼마나 큰지 한번 재 보는 건 어때? 하지만 겉으로 보기에 거의 똑같아 구분하기 힘든 일란성 쌍둥이에게도 다른 것이 ... ...
기침 VS 재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위한 몸의 중요한 방어 작용이에요. 이미 기도로 들어온 이물질을 배출하기도 하고요.
일반
적으로 기침은 기도, 목 안쪽에 숨을 쉬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후두’, 코 속의 공간인 ‘코안’, 폐의 표면인 ‘가슴막’이 자극을 받으면 생긴답니다. 자극이 여러 신경을 지나 대뇌를 자극하면 ... ...
방학엔 외국여행? 우리는 우주여행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특수한 임무를 가진 사람들이었지.정부 주도의 우주연구는 비용이 많이 들어
일반
인이 우주로 가기가 매우 어려웠어. 그래서 1996년 미국의 후원단체인 X프라이즈 재단이 민간우주여행에 성공하면 현상금 100억 원(1000만 달러)을 주겠다는 ‘안사리 X프라이즈’를 발표했지. 민간에서 우주선을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가격으로 짧은 구간을 연결하는 지하철은 1500V 크기의 직류를, 긴 거리를 달려야 하는
일반
기차나 수도권 국철은 2만5000V 크기의 교류를 써요. 그런데 서울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에는 지하철이 국철의 교류 노선을 함께 사용하는 구간도 있어요.직류 전기를 받아 달리던 전동차가 교류 전기로 ... ...
알록달록 아름다운 머릿속 실타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생각을 하거나 기억을 저장한답니다. 연구팀은 뇌세포에 색깔을 입혀 관찰하면
일반
인의 뇌와 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뇌가 어떻게 다른지도 비교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 ...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바람도 불지 않는 잔잔한 바다에서도 너울성 고파랑이 자주 생긴대. 너울성 고파랑은
일반
파도보다 파고(파도의 높이)가 높고 주기도 길어서 해안가 깊숙이까지 덮쳐 모래를 쓸어가 버리지. 절벽처럼 변해 버린 경북 울진의 월송리 해안도 초속 64m의 태풍에 맞먹는 고파랑이 갑자기 일어나 생긴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줄일 수 있어요.레이서뿐 아니라 모든 운전자에게 중요한 것이 있어요. 바로 안전벨트!
일반
차에 달린 안전벨트는 왼쪽 어깨와 허리를 감싸 고정하는 3점식 안전벨트예요. 반면 경주차에 달린 안전벨트는 양쪽 어깨와 양쪽 허리를 모두 감싸 가운데에서 고정하는 4점식 안전벨트지요. 6점식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대한 특징을 익히고 체험하며, 생물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활동을 주로 했단다.
일반
인은 생물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생물에 해를 끼치거나 채취하다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이야. “대도시에서 함께 살아가는 생물에게 관심을!”서울숲에서 열린 ‘바이오블리츠’ 행사에서 동아사이언스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아주 무거운 천체를 압축하면 빛도 탈출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1915년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이론을 발표했다. 블랙홀 이론을 뒷받침하는 내용이었지만, 학계의 반응은 냉랭했다. 1916년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가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의 해를 처음으로 구했다. 193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된 일일까?하필이면 아버지가 중력이 강한 곳만 골라 방문한 탓이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은 곳에 비해 시간의 흐름이 느리다. 아버지가 처음 방문한 행성은 블랙홀 근처에 있어 지구에 비해 중력이 어마어마했다. 단 2시간 가량의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