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서에 딱 맞는 3D 전자키트 - 딱킷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있다.딱킷은 전기회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중학교 교과서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 만들기(두산동아 기술·가정 2학년 198페이지)’에 소개됐다. 라디오를 만들려면 전원, 주파수 동조기, 증폭기, 스피커, 스위치 등의 부품을 회로도에 따라 연결해야 한다. 예전에는 회로 기판에 반도체 소자 ... ...
-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남아 있나요?연구사 예, 남아 있습니다. 윈도우 운영체제는 USB메모리와 같은 이동식 저장장치가 연결되면 레지스트리 파일에 기록합니다. 레지스트리 파일을 보면 USB가 컴퓨터에 연결된 시간과 USB메모리의 고유번호, 주고받은 파일과 제거한 시점을 알 수 있습니다.검사 그 레지스트리 파일에 ... ...
- Intro. 미래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등은 초전도 기술이 가져올 SF 같은 미래였다.MRI, 핵융합로, 입자가속기, 비파괴검사장치, 초전도 케이블, 자기부상열차 등 초전도 기술은 이미 여러 분야로 진출해 활발히 쓰이고 있거나 쓰일 예정이다. 하지만 그것으로 꿈이 다 이뤄졌다고 할 수는 없다. 여전히 풀리지 않는 문제가 쌓여 있다. ...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온도에서 일어나는 초전도 현상이다. 규모가 크고 값비싼 냉각장치가 필요 없다는 얘기다. 만약 상온초전도체가 등장한다면 고온초전도체의 발견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커다란 사건이다. 초전도 현상을 연구하는 과학자가 가질 수 있는 최고의 꿈은 상온초전도체 ... ...
- 첨단 기술로 배를 띄워라! 선박저항성능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잠깐! 인공 파도는 어떻게 만들까?선형수조에서 출렁이는 인공 파도는 ‘조파기’라는 장치로 만든다. 조파기를 물 속에 넣었다 뺐다 하면서 위아래로 진동시키면, 물이 함께 출렁이면서 파도가 만들어진다. 야외 수영장의 인공 파도도 똑같은 원리로 만든다 ...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있다. 현재는 건물 내 수소 농도가 5%를 넘으면 제거기가 작동한다. 앞으로 원전은 안전장치를 더 보강하는 쪽으로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 내진설계를 강화하고, 전기 없이도 냉각수 순환이 가능한 패시브 방식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사진은 건설 중인 신고리 3, 4호기의 모습.건물 구조는 어느 쪽이 ...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신약 개발에 쓸 수 있는 핵자기공명장치(NMR) 등이 초전도 기술이 만들 수 있는 첨단 장치입니다.언제쯤 초전도 기술을 이용한 제품이 일상적으로 쓰이게 될까요?DAPAS사업에서 개발한 초전도 전력기기의 검증이 끝난 뒤에는 수요가 급속히 증가할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향후 5년 뒤부터 시작돼 1 ...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오차는 1000분의 1초, 휴대전화와 기지국은 10만분의 1초보다 작아야 한다. 인공위성항법장치(GPS)는 10억분의 1초 단위로 시간을 맞춰야 한다. 그야말로 눈 깜짝할 틈도 안 되는 시간이지만, 우리는 이렇게 시간을 정확히 맞춰내지 못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세상에 살고 있다.이런 첨단 기기들은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끊겼다. 비상상태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마저 문제가 생기자, 원자로를 냉각시키는 장치가 제 역할을 못하면서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이 사고로 원자력발전소(원전)에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의 공포가 시작됐다. 방사성 물질은 방사선을 낼 수 있는 물질을 뜻한다. 방사선이란 우라늄이나 세슘처럼 ...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이를 이용하면 원하는 물질만 선택적으로 형광을 내게 할 수 있다. 반사자외선영상장치(RUVIS)로 ‘파장이 짧은’ 자외선(180~254nm, 1nm는 10억분의 1m)을 쬐면 증거물을 훼손하지 않고도 지문의 모양을 볼 수 있다.지문보다 더 정확하게 범인을 잡을 수 있는 증거는 DNA다. 사건 현장에서 용의자의 DNA를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