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험
연구
답사
탐방
탐구
현지답사
d라이브러리
"
탐사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그러나 대부분의 심해
탐사
는 사람이 직접 내려가지 못했다.사람이 심해를 직접
탐사
하기 위해서는 잠수장비가 있어야 한다. 초창기의 잠수장비는 공 모양의 잠수구로, 쇠줄에 매달려 물속으로 내려졌다. 미국 동물학자 윌리엄 비브와 기술자 오티스 바턴은 두께 3.8cm의 강철로 지름이 1백34cm인 ... ...
화성엔 물이 흘렀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1월 화성에 도착했던 미우주항공국(NASA)의
탐사
로봇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는 여전히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일까?최근 이들 로봇의 건재함을 보여주는 사진이 공개됐다. 7월 16일 NASA는 오퍼튜니티가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여기에는 화성에서 물이 흐른 흔적이 역력하게 나타났다. 이 사진에서 높이가 ... ...
유럽 화성
탐사
선 암모니아 가스 탐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생성하는 화산활동이 있거나, 미생물이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그러나 지금까지 화성
탐사
과정에서 활화산이 발견된 적은 없기 때문에 이번에 발견된 암모니아 가스는 생명체에 의해 생겨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BBC는 지적했다. 마스 익스프레스는 3월 화성 대기에서 생명체 존재의 신호가 될 수 ... ...
자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관측해가고 있다.갤렉스는 현재
탐사
영역의 30%를 관측했다. 앞으로 2년 동안 자외선 우주
탐사
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과 프랑스의 국제공동연구팀과 함께 8월경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특별호에 29편의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회복이라는 정치적인 목적이 다분히 담긴 계획이었다.아폴로 계획의 공표로 미국의 우주
탐사
는 가속이 붙었다. 케네디가 아폴로 계획을 공표한 지 8년 후 미국 현지 시각으로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는 달 착륙에 성공했다.이로써 미국은 소련에 구겨진 자존심을 세울 수 있었지만, 이를 위해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한일터널이 제시됐다. 이후 1980년대 일본에서는 해당 지역의 육상 시추, 해협의 음파
탐사
등 실질적인 조사가 이뤄지면서 한일터널 연구가 큰 활기를 띠었다.반면 한국은 일본에 비해 소극적인 자세였다. 1983년 한일터널연구회가 설립된 후 3차례에 걸쳐 일본과 한일터널에 대한 기술교류회를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전망이다. 그리고 2006년쯤에는 데이터 분석이 끝나 실험결과가 발표된다. 그때 중력
탐사
B가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바라보는 혜안을 드러내줄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과제를 제시해줄 것인지 무척이나 기대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아직 시험중 HOT ISSUE 1. 특명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조만간 국산화될 전망이다. 또 악천후에도 지표면을 관측할 수 있어 첩보 목적이나 자원
탐사
에 폭넓게 활용되는 레이더 센서 역시 현재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이처럼 2002년 세계시장 규모가 20억 달러에 이를 정도로 위성영상분야는 급성장하고 있다. 물론 한반도의 군사적 상황과 군사강국들의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년 NASA의 중력
탐사
A 위성을 통해서 이뤄졌다. 이 실험에서 정밀한 원자시계를 장착한 중력
탐사
A 위성이 1만km 고도로 쏘아 올려졌다. 위성에 장착한 시계와 지상의 시계 간에 똑같이 시간이 흐르는지를 비교했다. 그 결과 이들 간에는 약간의 시간차가 있음이 확인됐다. 중력 적색편이 현상에 따르면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어느 정도 드러내고 있었다. 하지만 2003년 울릉군청의 지원으로 실시된 현장 수중
탐사
에서는 연안의 암반 위는 대부분이 우윳빛으로 확산돼 있었다. 무절산호조류도 분홍색 색소가 탈색된 채 허연 석회질 덩어리로 변한 상태였다.독도는 울릉도에서 92km, 육지(포항)에서 약 2백67km 떨어진 우리나라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