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착
쥐기
잡기
쥠
해독
번역
판독
d라이브러리
"
파악
"(으)로 총 3,46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만 하면 생각대로’ 움직이는 휠체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주변 모습이 3D지도로 나타난다. 이때 바퀴에 달린 센서는 휠체어의 현재 위치를
파악
하고 어디로 이동할 수 있는지 미리 생각한다.사용자가 목적지를 바라보면 헬멧의 전극이 뇌의 활동을 밀리초(1000분의 1초) 단위로 인지한다. 그러면 스크린에 목적지가 파란 점으로 표시된다. 휠체어는 파란 점이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성적 때문에 진로를 바꾸는 것처럼 비춰질 우려가 있습니다.추천서는 나를 가장 잘
파악
하는 사람이 쓴다-> 추천인은 수험생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본 사람으로 하라.-> 사실을 바탕으로 추천하는 수험생의 개성을 살려라.나머지 서류가 수험생이 자신의 열정을 소개하고 그것을 증명하는 자료라면, ... ...
별똥에서 소리가 났다는 기록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있는 천체관측기기입니다. 낮에는 해시계로 쓰고 밤에는 혜성이나 행성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
할 수 있지요.”인류가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하기 시작한 지 400년이 되는 올해, 현대 천문학에는 후발주자인 우리나라지만 풍부한 천문학 유산을 갖고 있다는 자부심이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밑거름이 ... ...
아날로그에 디지털 입혀 증강현실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세로 높이가 1m정도 되는 캠퍼스 공간의 위치정보를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파악
하면서 춤추는 로봇의 위치정보를 첨가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로봇의 정보와 공간의 실시간 정보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로봇이 건물에 부딪치지 않고 춤을 출 수 있다. 공간에 손이나 다른 사물을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유행하면 역학자들은 체계적인 역학조사로 조기에 전염병의 유행원인과 전파경로를
파악
하고 유행을 막을 방법을 찾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 ...
[의학] 피부염서 나온 독성물질, 천식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밝혔다. 코판 교수는 “이번 연구는 피부염에서 비롯되는 문제를 분자 단위에서
파악
한 것”이라며 TSLP를 통제할 수 있다면 피부염이 천식으로 번지는 일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같은 무인정찰기(에어로스태츠)가 주인공에게 다가오더니 얼굴을 스캔하고 그의 정체를
파악
해 위치 정보를 인공지능 네트워크 ‘스카이넷’으로 보낸다. 부~앙! 미끈한 무인오토바이(모터 터미네이터)가 주인공을 추격하다가 폭발로 흩어진 잔해가 다가오자 충돌물체를 감지하고 몸체를 피해 ... ...
약학대학 학제개편에 따른 진로설계 방법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처럼 약사는 여러 분야와 접목된 다양한 일을 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성향을 잘
파악
해 목표를 설정한다면 성격과 능력이 어우러진 분야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약사는 국민의 건강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이므로 올바른 윤리의식을 가져야 합니다. 약사는 면허를 소지하는 전문 직종에 해당하므로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많은 사실이 밝혀졌지만 아직까지 그 전모를
파악
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국립과학원회보’ 3월 3일자에 AI 바이러스와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의 고병원성을 비교한 논문을 발표한 미국 워싱턴대 비교의학과 캐롤 바스킨 박사는 논문 서두에서 “우리는 이들 ... ...
色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병원만 가면 ‘고혈압’, 흰색 가운이 원인필자는 1998년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색채를
파악
하고자 3~9세 아동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을 통해 실험을 진행한 적이 있다. 그 결과 어린이들이 좋다고 응답한 색은 빨강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노랑, 핑크, 보라, 주황 순이었다. 주로 차가운 느낌이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