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2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주에 있는 '우주 날씨 예보관' 사관학교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NASA)의 태양관측위성(SDO)이 시시각각 보내온 태양 관측 영상이 흘러나왔다. 태양을 17.1
나노
미터(㎚·10억분의 1m) 파장으로 관찰한 영상과 함께 태양에서 일어나는 지진과 자기장을 관측한 영상, 이를 숫자로 표현한 정보가 화면을 가득 채웠다. 최근 48시간 동안 관측된 태양은 내내 잠잠했으나 ... ...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 높은 리튬금속전지 안정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7
성장을 억제했다. 조원일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지난해 이미 그래핀 계열의
나노
소재를 리튬금속 표면에 고르게 입히는 방식을 통해 인조보호막 기술의 성능과 안정성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지난해 개발한 초박막 인조보호막의 양산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래핀 대신 ... ...
'적혈구 트로이목마' 폐까지 약물 전달해 암 전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폐암에 걸린 쥐에게 정맥주사로 주입했다. 약물 전달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적혈구 없이
나노
입자에만 항암제를 붙여 또 다른 폐암 쥐에게 주입했다. 그리고 쥐들의 폐 종양 부위에 항암제가 얼마나 도달했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적혈구를 이용해 항암제를 주입한 쥐의 폐조직에서 약물이 16배나 ... ...
원자력硏 창업기업 고효율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기술은 질화붕소
나노
튜브 표면에
나노
미터(nm·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팔라듐 또는 백금
나노
입자 극소량을 결합해 촉매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기존 기술에 떨어지지 않는 정화 성능 구현이 가능한 동시에 600도 이상 고온에서도 오랜 시간 정화 성능이 유지됐다. 값비싼 귀금속을 기존 기술에 비해 10 ... ...
'융합' 기치 내걸고 씨 뿌린 10년..."다음 목표는 융합 '허브' 기관"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시도하면서 익숙해진 감이 있다. 4차산업혁명이라는 말이 유행어가 되면서 데이터, AI,
나노
등의 용어는 대다수 일반대학원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연구 주제가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고급인력을 집중 양성할 AI대학원을 5곳 올해 따로 지정했다. 서울대에는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도 따로 ... ...
"휘고 구기고 빨아도 오케이" 투명 전자소자 대량 생산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확인했다. 심지어 세탁을 해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또 고무 등 신축성 수지와 금속
나노
입자로 이뤄진 복합재료에 빛을 쪼여 신축성 전도체를 만드는 데에도 성공했다. 수지 속 금속 물질에만 국부적으로 높은 열을 순간 가해 굳히는 원리다. 이 소자는 늘어나는 센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우 ... ...
생체 분자로 양자역학 '파동-입자 이중성'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발랐다. 그 뒤 탄소 소재 바퀴를 회전시키면서 분자가 코팅된 표면에 자외선 영역인 343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파장의 레이저를 10조 분의 3초(290펨토초)씩 짧게 충돌시켜 그라미시딘 분자를 휘발시켜 떼어냈다. 이어 이 분자에 초속 600m의 속도로 날아가는 극저온 아르곤 원자 빔(물질파) 또는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백경목 SK하이닉스 수석연구원·이재만 다원산업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가시화할 수 있는 계측기술의 중요성이 기술 못지 않게 중요하다. 백 수석연구원은 10
나노
미터급 초미세 패턴의 기술 완성도와 불량을 검증할 수 있는 신 계측법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 및 상용화했다. 백 수석연구원이 개발한 신계측법은 웨이퍼 1장을 18분 만에 완벽히 계측해 잠재적인 불량을 ... ...
"식물 생존 책임지는 '수송체' 연구에서 환경과 식량 해결 실마리 찾았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ABC 수송체의 모습을 아직 못 봤어요. 이제 극저온현미경 등 기술이 발전했으니
나노
구조를 눈으로 보고 싶어요. 제가 퇴임할 때까지 못 보더라도, 함께 연구하던 다른 연구자가 밝혀 준다면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할 것입니다 ... ...
전도성 고분자로 투명전극 제조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접고, 늘어났다 줄어드는 극한 환경을 이겨야 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지역본부
나노
·광융합기술그룹 윤창훈 수석연구원이 투명전극용 차세대 소재를 개발하며 도전장을 냈다. 윤 수석연구원과 부경대 등 공동연구팀은 기존 화학적 처리법 대신 세계 최초로 물리적 처리법을 적용해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