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뉴스
"
전력
"(으)로 총 2,29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양인이 서양인 보다 술이 약한 이유는?
2015.12.27
만 명. 피난생활 도중 사망한 인원만 1800여 명이다. 4000여 명의 주민들은 일본 정부와 도쿄
전력
을 상대로 집단 소송을 내기도 했다.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잃은 원인이 ‘원전사고’라는 점에 분노한 것이다. 책 ‘후쿠시마에 산다’는 집단 소송에 참여했던 94명의 목소리를 담았다. 일본 신문 ... ...
‘메이드 인 코리아’ 오존 생성 장치로 반도체 닦는다
2015.12.23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오존 생성 장치에 최적의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도 개발해 오존 생성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그 결과 기존 장치보다 전기에너지를 30% 이상 절감했다. 손 연구원은 “유해 화학용액 대신 잔류물이 남지 않는 오존을 쓰면 친환경적이면서도 ... ...
차세대 TV, 더 적은 소자로 밝은 빛 낸다
2015.12.21
분자에서 두 가지 빛을 번갈아 발현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소자에
전력
등의 에너지를 가하면 전자는 들뜬상태가 된다. 들뜬상태에 있던 전자가 다시 안정적인 바닥상태로 돌아가면서 얻었던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내보내는 것이 발광의 원리다. 높은 상태에서 급하게 ... ...
테러 현장서 유독가스 성분 검사 한번에 끝낸다
2015.12.21
이 장치는 기존에 가장 작은 장비보다 무게는 7분의 1, 크기는 4분의 1 정도로 작고
전력
소모도 3분의 1에 불과했다. 이 장치는 무게가 1.5㎏, 크기는 A5 용지의 책 정도여서 언제 어디서나 배터리로 동작이 가능하다. ppb(ppm의 1000분의 1) 수준의 초미량 가스도 검출이 가능해 대부분의 유해가스를 ... ...
탈선사고 원천봉쇄…달리는 열차바퀴 실시간 점검한다
2015.12.21
30%이상 더 줄여 설치 편의성을 높일 예정이다. 새롭게 개발한 센서는 열차 진동에서
전력
을 만드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적용돼 전원공급선 등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도 장점이다. 또 휴대전화 통신망과 같은 LTE 통신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관실 열차통합센터까지 ... ...
[사설]서울의 공기오염이 세계 5위라는 충격적 사실
동아일보
l
2015.12.17
배출원에 대한 강제력 있는 규제를 강화하고 석탄화전 폐쇄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전력
수급계획을 다시 짜야 한다.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이것’ 비상 - 주미 中대사 “아베 ... ...
플랙서블 티타늄, 3D몽타주…
2015.12.16
고유자원을 이용한 수면개선 기능성소재 기술사업화(한국식품연구원) △탄화규소
전력
반도체 기술(한국전기연구원) △선택적 탄키라제 저해 후보물질 개발(한국화학연구원) △연구소기업 5700만 달러 규모 수출(한국생명공학연구원) △친환경 무기바인더를 이용한 알루미늄 중자제조 원천기술 ... ...
OLED-그래핀 만나니 TV가 더 선명해지네
2015.12.15
줄었다는 것은 정면이 아닌 옆쪽에서 봐도 색 변화가 거의 없다는 뜻이 된다. 또 같은
전력
을 사용해도 기존보다 더 밝게 보인다. 때문에 이 기술을 OLED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경우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기존 진공 상태에서 OLED를 제조했던 것과 달리 그래핀 전극 ... ...
전기차 연비, 최대 10% 높이는
전력
반도체 개발
2015.12.14
한국전기연구원이 500도의 탄화규소 웨이퍼에 이온을 주입하는 모습. -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도요타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프리우스’에 사 ... 효율을 최대 10% 더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새로 개발된 탄화규소
전력
반도체는 효율이 높고 부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 한국전기연구원 ... ...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5.12.11
중이다. 박영진 센터장은 “성층권을 비행하는 ‘고고도무인기(高高度無人機)’에
전력
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게 1차 목표”라며 “최종 목표는 우주 태양광 발전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