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스페셜
"
다만
"(으)로 총 2,1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근육을 마비시켜 작용한다. 그런데 KPNB1 단백질에도 달라붙어 그 작용을 방해한 것이다.
다만
이버멕틴 단독으로는 항암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고 택솔 같은 기존 항암제와 함께 쓸 때 시너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이처럼 두 가지 이상의 항암제를 같이 써 효과를 극대화한 ‘칵테일 ... ...
꼭 외향적인 사람이 좋은 리더일까
2017.10.22
볼수록 진국인 사람들이 있다. 겉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내면이 남다른 사람들인 셈이다.
다만
내향적인 사람들은 본인들이 자신의 리더로서의 역량을 과소평가한다고 하니 만약 단순히 활발하지 못하기 때문에 좋은 리더가 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다시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든다. 일단 떠오르는 게 백신인데 아직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다만
최근 백신 개발용으로 적합한, 즉 SFTS바이러스를 대표하는 균주를 제안한 중국 연구자들의 논문이 한 학술지에 발표되기는 했다. 한중일 세 나라의 보건 담당자들이 SFTS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해 머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폭발을 일으킨 백색왜성의 가까이에 지름이 태양의 56배에 이르는 적색거성이 존재한다.
다만
자외선 피크는 동반성-충격 모형이 예측하는 값에 못 미쳐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몇 가지 가능한 설명을 제시하면서도 비슷한 관측이 더 쌓여야 이론 모형이 완벽해질 수 있다고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행복도는 휴가를 갔다 온 사람과 가지 않았던 사람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휴가를 ‘스트레스 전혀 없이’ 정말 여유롭게(relaxing) 보냈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휴가를 다녀와서도 2주 정도 더 행복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이들도 2주 후에는 역시 원래의 행복도를 되찾는 모습을 보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애벌레가 폴리에틸렌을 먹고 소화했다고 결론 내렸다.
다만
논문 말미에서 아직 분해 메커니즘은 규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아무튼 이 연구결과가 보도되자 우리나라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추가 연구가 진행해 관련 효소를 찾으면 폴리에틸렌도 생분해 플라스틱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쓴 경우 프로바이오틱스를 복용하면 장내미생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만
아직은 포함된 장내유익균 종류가 많지 않다. 예를 들어 필자가 먹는 프로바이오틱스에는 클로스트리디움 오르비신덴스가 없다. 지난 2008년 중국에서는 멜라민이 들어있는 분유를 먹은 수많은 아기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역시 부지 확보도 쉽지 않지만 현재로서는 이를 늘리는 게 그나마 해결책인 것 같다.
다만
태양광의 비율이 커지는 만큼 작동하지 않을 때를 대비한 백업요원 (결국은 화력발전이다)도 늘려야 한다. 결국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이 나오기까지 우리나라에서 ‘탈석탄 탈원전’ 두 마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과정에서 반물질인 양전자(positron)가 나온다. 양전자는 전자와 질량 등 모든 특성이 같고
다만
전하만 반대다. 이렇게 생겨난 양전자는 곧바로 주변의 전자를 만나 소멸하면서 해당 질량의 에너지(E=mc2에 따라)를 갖는 광자(감마선) 두 개로 바뀐다. 감마선은 빛의 속도로 움직임에도 멀리 가지 못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전반적인 특징이 억센 네안데르탈인보다도 섬세한 현생인류에 더 가까웠기 때문이다.
다만
얼굴이 좀 더 넓적하고 컸다. 2007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한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1968년 발굴된 아이의 턱뼈를 상세히 조사한 연구결과를 실었다. 즉 치아의 성장패턴을 분석한 결과 호모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