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스페셜
"
지적
"(으)로 총 2,13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하면 시험을 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힘을 내서 열심히 공부하면 좋겠지만,
지적
능력에 대한 자신감에 우쭐해하기만 하고 정작 공부를 하지 않으면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또한 걱정은 항상 쓸데없는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일례로 걱정을 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수반되는 감정의 강도가 약한 경험은 좀처럼 기억하기 어렵다. 대표적인 예가 공부다.
지적
호기심으로 가슴이 터질 것 같은 학생도 없진 않겠지만 대부분은 매일 반복되는 수업에 무관심해지고 따라서 공부가 잘 안 되기 마련이다. 즉 배운 걸 돌아서면 잊어버린다는 말이다. 이스쿠이에르두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있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반박 서신들은 통계 처리의 오류를 비롯한 여러 문제점을
지적
하면서 최대수명이 정점을 쳤다는 주장은 시기상조라고 반박하고 있다. 그럼에도 1997년 122세에 사망한 프랑스의 잔 칼망 여사가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최장수자로 기네스북에 올라있다. 장면3. 지난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것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이 수백 가지나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논의는
지적
만족을 줄지 몰라도 외계생명체가 발견되지 않는 한 ‘과학자들의 수다’에 불과하다. 1DNA의 유전정보가 RNA를 거쳐 단백질로 번역된다는 ‘센트럴 도그마’를 제창한 프랜시스 크릭은 1968년 발표한 한 ... ...
정말 남자가 더 위험추구 성향 높나
2017.11.04
행동의 경우 그 행동의 ‘결과’나 실제 ‘위험의 정도’가 남녀에 따라 다르다는 점도
지적
했다. 문란한 성생활의 경우 최악의 상황을 가정했을 때 여성의 경우 임신과 그로 인한 신체적 부담을 질 수 있고 또한 사회적으로 ‘창녀(slut)’라는 비난까지 지게되는 반면 남성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경우 환자의 심리(마음)가 병의 증세나 회복속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저자는
지적
한다.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마음은 고려 대상이 아닌 오늘날 의료체계가 문제라는 것이다. ‘기적의 치유력’의 주제는 한 마디로 현대 의료체계가 환자 개인의 ‘마음의 힘’을 제대로 인식해 치료 과정에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우리의 ‘기억’이다. 많은 사건들이 실제 체험할 때보다 ‘기억’ 속에서 아름다움을
지적
하는 학자들이 있다. 경험 당시에는 즐겁기는 커녕 고생이 많았거나 위험천만했던 일일수록 훗날 떠올리면 ‘특별’하고 재미있었던 일로 추억되곤 한다. 경험은 순간이지만 그 기억은 오래 간직되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과학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이를 규명한 실험방법에 결함이 많다는
지적
과 함께 확실히 증명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데 왜 쓰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졌다. 그 뒤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써서 이 박테리아가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게 아님을 입증한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
2017.08.13
마음을 먹으면 도움행동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또한 공감능력의 치명적인 한계로
지적
되는 것이 공감이란 기본적으로 타인의 힘든 감정이 자신에게로 옳아오는 시스템이란 점이다. 즉 공감을 잘 할수록 본인이 심한 괴로움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이런 공감성 과각성(empathic overarousal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
2017.07.30
충분히 갖지 못한채 외적 압력에 휩쓸려 자신이 원하는 삶이 아닌 삶을 살고 만다는
지적
이다. 실제로 집단주의 사회의 개인들은 그렇지 않은 사회의 개인들에 비해 ‘행복에 대해 충분히 생각해 본 적 없다’,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은 이기적이다’, ‘행복한 게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 같다’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