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사고
사변
사태
업무
일거리
비상상태
d라이브러리
"
사건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점차 비관적으로 보았다. 이와 함께 지난해 12월말 벌어졌던 미르와의 통신두절
사건
으로 인해 러시아 정부는 미르를 계속 우주에 떠있게 할 수 있는 재정 및 기술적 수단이 모두 소진한 것으로 판단했다.사실 모두가 그동안 있었던 미르의 생명연장에 대해 달가워한 것은 아니다. 특히 러시아와 함께 ... ...
구장산술에도 유클리드 호제법 나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문명권의 과학문화를 적어도 2천년 동안이나 지배했다는 사실은 그 자체로서 결코 보통
사건
이 아니다. 우리가 지금 하려는 작업은 그 같은 엄청난 영향력의 비밀을 파헤쳐서 그 에너지로 우리의 수학적 사고력을 충전해보자는 것이다.그러면 이제부터 아홉장으로 이뤄진 이 책의 첫째장을 ... ...
마음의 눈을 뜨지 못하는 자폐증 환자, 레인맨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극적으로 탈출하게 되고, FBI 요원인 아트(브루스 윌리스)가 사이몬을 발견하면서 이
사건
에 휘말리게 된다. ‘국가 보안’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권력으로부터의 폭력’을 다룬 영화이다.| Fragile X 증후군 |자폐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원인이 다른 증후군. X염색체의 긴 팔 부분에 이상이 있는 ... ...
즉석카메라 특허 침해로 8천억원 배상한 코닥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전문가들보다 오히려 비전문가가 유리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이 두
사건
으로 한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좋은 아이디어, 즉 좋은 기술을 발명한 사람은 특별한 경우가 아닌한 자신의 발명을 무작정 이용당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그레이 역시 특허권료로 20%나 되는 수익금을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문제라기보다는 언젠가 주사위 숫자가 ‘1’이 나오는 것처럼 반드시 일어날 수 있는
사건
이다. 다만 시간이 문제가 될 뿐이다. 우리가 NEO를 발견하고 궤도를 계산하며 추적·감시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천문학자들이 연구비를 따기 위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꼭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친구와 함께 작은 회사를 경영하며 행복한 삶을 꾸리고 있다. 그러던 어느날, 놀라운
사건
이 벌어진다. 집안 거실에 자신과 똑같은 모습의 또다른 남자가 가족들과 생일 파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또다른 자신을 보고 혼란스러워하는 아담은 정체모를 암살자들에게 납치 당하고….복제 후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소행성이 충돌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석질(石質) 소행성이라면 시베리아 퉁구스카의
사건
처럼 대기 중에서 폭발이 일어나고, 이보다 단단한 철질 소행성이라면 워싱턴, 런던 정도의 도시를 파괴하면서 미국 애리조나주의 배린저 운석공과 같은 커다란 충돌흔적을 남기게 된다. 물론 충돌하는 ... ...
30년 인텔의 아성에 도전하는 AMD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말이 나왔을까.지난 3월 6일 인텔이 지배하던 세계 컴퓨터 CPU시장에 깜짝 놀랄만한
사건
하나가 일어났다. 항상 뒷전에 밀려 주목받지 못하던 AMD(Advanced Micro Devices)가 1GHz CPU 애슬론을 전격 발표한 것이다.1GHz CPU는 글자 그대로 초당 10억번의 연산(진동)이 가능하다. 이 같은 엄청난 계산능력으로 인해 ...
복제인간 탄생 초읽기에 들어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복제연구의 특성상 임신기간 중에 유산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
은 사람이 복제대상의 전면에 등장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현재 대다수의 유럽 국가들은 인간복제 실험을 완전히 금지하고 있다.그러나 영국에서는 난치병 등 치료 목적을 위해서 14일 이내의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주기적으로 불면서 진폭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공진 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
사건
은 경간이 긴 다리설계에 공기역학과 풍동실험을 도입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1950년대 독일의 공학자들은 다리를 두줄에 매다는 현수교 방법 대신 여러줄에 매다는 방법을 도입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