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위한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미국 국립스미소니언 동물원에서 배워온 대로 전극봉를 사용해 삵의 정자 채취를 시도한 거예요. 하지만 생각처럼 잘 되지는 않았어요. 알고 보니 전극봉과 다른 장비의 작동 방법이 미국에서 배웠던 것과 달랐기 때문이었어요. 논문이었어요. 모세관현상을 이용해 전기 ... ...
- [이달의 과학사] 페르미, 최초의 원자로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1942년 12월 2일, 미국 시카고대학교의 미식축구장 지하에 긴장한 표정의 물리학자들이 하나둘 모였어요. 이날은 세계 최초의 원자로인 ‘시카고 파일 1호(CP ... 쓰이는 원자로의 토대가 되었답니다. 무시무시한 무기와 함께 원자력 에너지를 평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길도 함께 연 거지요 ... ...
- [우주화장실] 우주에서는 어떻게 화장실을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하는 질문 중 하나는 우주 화장실을 쓰는 방법”이라며 국제우주정거장(ISS)의 화장실 사용법을 소개하는 동영상을 올렸어요.우주에서 화장실을 가기는 쉽지 않아요. 우선 비행사의 몸부터 변화를 겪거든요. 예를 들어, 우주 비행사는 오줌이 덜 마려워요. 지구에서는 오줌이 방광 바닥에 쌓이면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소리화’라고 하지요.과학자들과 예술가들은 소리화 기술을 연구나 작품에 적극 사용해요. 눈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소리로 들으면 직관적으로 차이를 알 수 있고, 새로운 모습이 보이기도 하거든요.지난 9월 2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를 소리화한 연주곡을 공개했어요. 캐나다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정보를 빠르게 교환할 수 있어 공동 연구가 가능해졌어요. 이후 일반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가 개발되면서 지금과 같은 인터넷 환경이 만들어졌지요.2008년부터 CERN은 전 세계의 컴퓨터를 하나로 묶은 ‘WLCG’라는 시설을 구축해 왔어요. 전 세계 42개 국가의 170여 개 컴퓨팅 시설에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화려한 색깔이 나를 감싸네, 신기한 셀로판지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나트륨(Na+)과 칼륨(K+) 이온은 신경 세포가 신호를 전달할 때 사용되는데, 전기를 띠기 때문에 인지질을 통과하지 못해요. 이때 인지질을 통과하지 못하는 물질은 ‘막단백질’을 이용해요. 막단백질은 필요한 물질만 선택해서 세포 안팎으로 물질을 들이거나 내보내는 선택적 ... ...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팀, 미국-설명 : ‘접을 수 있는 개인 우주 비행사용 화장실’은 접은 상태로 보관하다 사용할 때가 되면 투명한 받침대에 끼운 후 공기를 넣어 부풀려 쓴다. 용변을 본 후에는 그대로 봉투를 분리하여 버리면 되어 편하다.-심사위원 한마디 : “아폴로 계획의 전통을 잇는 쓰고 버리는 간편한 ... ...
- 베토벤, 내가 제일 잘 나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서양 음악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작곡가였어요. 1800년대 초반부터 베토벤의 코드워드를 사용한 작곡가들이 많아졌고 베토벤이 사망한 후에도 약 100년간 많은 음악가들이 베토벤의 코드워드를 따라했지요. ▶클릭하면 라흐마니노프의 대표곡을 들을 수 있다 https://youtu.be/aMYlrfbDUJw ●인터뷰 ... ...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수 있었지요.애니말과 같은 로봇개는 위험한 산업 현장이나 방역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요. 이번 연구가 발표된 논문의 제1저자인 이준호 연구원은 “앞으로 연구에서 로봇개가 험난한 지형에서 완전히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을 고정점으로 정하고, 그 사이를 100개의 단위로 나누어 사용하자고 제안했어요. 기압이 일정하다면,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은 어디서든 일정하게 유지되었거든요.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셀시우스는 처음에 물의 끓는점을 0℃, 어는점을 100℃로 정했다는 거예요. 차가워질수록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