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1,99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리산
과학동아
l
198611
조류로는 꾀꼬리 곤줄박이 진박새 동고비 직박구리 물가마귀 쏙독새 파랑새 호
반
새 청호
반
새 큰오색딱다구리 매 꿩 등이다. 한편 곤충류로는 나비목 1백17종, 풍뎅이목 49종, 진딧물 49종이 기록되어 있다.지리산국립공원의 세부계획에는 자연보존지구를 설정하고 있다. 특히 야생생물의 보호관리에 ... ...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진상
과학동아
l
198610
못한 것 뿐'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소련은 현재 14기의 RBMK-1000체르노빌 형 원자로중에서
반
은 가동을 중단하고 개선작업을 하고 있다. 레가노프에 따르면 이 작업에는 핵분열을 완화시키기 위해 제어봉의 수를 늘이는 일이 포함된다고 한다. 이밖에도 운전자가 마음대로 제어봉을 철수할 수 없게 ... ...
일본에서 개발된 전기충격요법 색약·색맹이 치료된다
과학동아
l
198610
와서 보거나 실제 치료 받은 사람을 만나 체험담을 정확히 들어본 사람은 없다. 무조건
반
론을 제기하고 색맹은 치료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 설명하고"불가능을 가능케한 전혀 새로운 기술이 모두에게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기 까지는 어려운 고비가 많을 것 같다"고 안타까와 하고 있다 ... ...
1M D 램급 256K S램 개발
과학동아
l
198610
미국 일본 등과 동시 개발한다는 목표아래, 서울대
반
도체연구센타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반
도체연구조합이 공동으로 4M D램 개발에 나서고 잇다. 또한 과학기술처 2천년대 계획에 따르면 2001년까지 256M D램을 상품화한다는 것이다 ... ...
파스퇴르 종양바이러스 연구팀장 장셰르망 박사
과학동아
l
198610
원인이 알려진 지금도 치료법은 없읍니다. 이병에 일단 걸리기만하면 진단 받고 난뒤 1년
반
이내에 50%가, 3년 이내에 80%가 목숨을 잃는 치명적인 병이기 때문에 두려움이 크지요. 지난 7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이병의 환자가 발생한이래(공식 보고는 81년) 86년 1월 현재 세계 75개국에서 2만여명이 ... ...
암의 계몽, 조기진단 절실
과학동아
l
198610
별뚜렷한 이유도 없이 소화가 안될 때, 이런 상태가 3주일 이상 계속된다면
반
드시 확인해볼 필요가 있읍니다. 또 코와 같이 출혈이 없어야 할 부분에서 출혈이 생기면 일단 의심을 해보아야 합니다. 사마귀나 혹이 갑자기 커진다거나 헐어버릴 경우에는 암의 초기상태일 수가 있읍니다." ―조기에 ... ...
당뇨병 완치 가능하다 세포이식의 새로운 치료법
과학동아
l
198610
되는데 그것은 이식세포에 대한 거부
반
응을 없애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거부
반
응이란 이식된 세포에 대해 항체가 마치 나쁜 바이러스를 발견했을 때 하듯이 이를 공격하고 죽이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이론적으로 면역억제약을 투여하는 것이다. 즉 ... ...
시력이상과 교정의 요령 굴절이상은 정확한 안경처방이 필수적
과학동아
l
198609
맺게 된다. 난시란 눈의 축에 따라 굴절정도가 서로 다른 경우를 말하며, 노안은 40대중
반
이후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가까운 물체가 잘 안보이게 되는 경우이다. 이중 빈도가 높으며 요즘 사회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근시에 관해 알아 보기로 하자. 근시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 ...
석회동굴
과학동아
l
198609
지하수생물을 말한다. 동굴속은 항상 캄캄하고 온도와 습도의 변화가 비슷하기 때문에 일
반
생물과는 다르다.사실상 동굴생물은 오랜동안 특수한 환경에 적응해왔기 때문에 색채가 없는 것 외에도 눈이 필요치 않아 점차 퇴화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각(視覺)이 없어지는 대신에 촉각 등 ... ...
운동선수의 약물중독 왜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609
딸수있다면 복용하겠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결과는 놀랄만한 것 이었다. 절
반
이상인 103명이 "복용하겠다"고 답한것이었다. 이 조사에서 나타난 선수들의 자세는 오늘날 스포츠에서 약물복용의 문제가 왜 그처럼 중대사가 되는지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스포츠에서 경기력향상을 위해 갖가지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