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범경기. 상대의 허를 찌르는 전략 뒤에 통계가 있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선수를 데려올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통계 자료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새로운
전략을 찾았다. 중간계투를 선발 투수 대신 가장 먼저 기용해 1~2이닝을 소화하게 한 뒤, 선발 투수를 2~3이닝부터 투입해 여러 이닝을 소화하게 만든 것이다. 보편적으로 전통적인 야구에서는 선발 투수가 ... ...
Part 1. 에이즈 예방 VS 실패한 연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실험에서 변이된 유전자가 에이즈 감염을 막을 수 있을지 불투명할 뿐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바이러스의 수용체가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했어요 ... ...
[과학뉴스] 깨져도 다시 살아나는 ‘좀비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개발했다.박철민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스스로 손상을 회복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소재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 2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구리가 첨가된 황화아연을 포함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것으로 알려졌다. 유도만능줄기세포 치료제 출시가 다가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업도
새로운
시장을 찾아 뛰어들고 있다. 일본의 다이닛폰스미토모제약은 2018년 3월 오사카에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구축했고, 다이이치산쿄는 심근 시트 상용화 연구를 추진 중이다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이론적으로는 입력된 파장이 동일한 위상으로 물질의 끝단에서 방사된다. 뒤에서 설명할
새로운
콘셉트의 투명망토는 바로 이 원리를 이용했다. 최초의 메타물질은 실린더형과학자들은 물질의 특성에 따라 빛의 전파 특성이 다양하게 바뀌는 원리를 이용해 메타물질을 개발해왔다. 음의 굴절률을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사라진 영웅들 부활할까?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페이즈3의 마지막인 영화인만큼 쿠키영상에서 페이즈4에서 새로 등장할 영웅과
새로운
적의 단서를 줄 지도 모른다. 마블 코믹스에는 타노스를 뛰어 넘는 적이 수두룩하다. 남은 영웅들이 타노스를 어떻게 무찌를지 지켜보는 동시에 쿠키 영상에서 나올 페이즈4의 단서도 놓치지 말자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부르크하르트 프리케는 각각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8주기 원소의 전자 배치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했다. 퓌쾨의 경우 8주기 원소 중 165~168번을 8주기가 아니라 9주기일 것으로 예상했고, 프리케는 165~172번을 9주기로 제안했다.이 교수는 “8주기 원소 각각의 최외각전자가 어느 오비탈에 ... ...
[INTERVIEW] 지구를 가로질러 우주로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시작된 두 사람의 인연은 우주를 향한 갈망으로 지금까지 이어져왔다. 그들은
새로운
우주를, 그리고 별을 보기 위해 지구 곳곳을 누볐고, 우주의 신비로움에 함께 울고 웃었다. 그리고 마침내 자신들의 오랜 탐험기를 책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에 집대성했다. 어떻게 우주 관측에 빠지게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여덟 살짜리 아들 버스터는 요즘 열심히 태권도를 배우는 중이다. 개럿은 가끔 아들이
새로운
색깔의 띠를 얻기 위해 테스트를 받을 때 사진을 찍어 보내주기도 한다. 언젠가는 유단자인 나에게 도전할 날을 기대하라는 농담과 함께. 최근 개럿의 집에 초대돼 버스터를 만난 김에 태권도는 ... ...
[포토뉴스] 쌍곡면으로 바다 민달팽이처럼 움직이는 로봇 만든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최근 한 수학자가 쌍곡면을 적용해 마치 연체동물처럼 움직이는 로봇을 만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주인공은 쉔카 벤카타라마니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수학과 교수입니다. 벤카타라마니 교수는 산호초나 바다 연체동물에게서 나타나는 프릴 형태의 표면에서 연체동물처럼 움직이는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