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소리를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내는 소음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직접 측정한 소음과 거의 일치했다.음향을 예측하고
조절
하는 기술은 산업현장에서 엄청난 수고와 비용을 덜 수 있다. 소음을 줄인 공사장의 분쇄기나 악기의 개성을 살려주는 음향홀 설계, 저소음 컴퓨터까지 그 응용분야는 끝이 없다. 타이어의 도면만 봐도 주행할 ... ...
여왕이 성(性)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만회하려고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며 “일벌과 여왕벌이 어느 정도 꿀벌사회의 성비를
조절
하는 임무를 공유한다”고 말했다. 이 결과는 ‘행동생태학저널’ 11·12월호에 실렸다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찰칵 소리를 내며 불을 붙이는 압전(壓電)소자, 카메라의 셔터 속도와 조리개를 자동
조절
하는 수광(受光)소자, 음향기기 등에 붙어 음량이나 다른 물리량의 크기에 따라 반짝이는 발광소자, 그리고 초고성능 컴퓨터용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조셉슨 접합소자 등이다지구상의 임의의 지점에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는 교차상핵으로 전달하면 시신경 교차상핵이 하루 주기(24시간)에 맞춰 생체반응을
조절
하는 뇌영역으로 정보를 보낸다. 사람은 시계를 보지 않고도 하루주기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외국 여행을 할 때 처음엔 시차 때문에 고생해도 곧 적응해 현지의 하루 생활주기에 맞출 수 있는 것도 이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니코틴, 마약 같은 물질에 의존하는 ‘물질 중독’과 달리 도벽이나 방화광처럼 충동을
조절
하지 못해 생기는 ‘행위 중독’이다. 하지만 건국대병원 신경정신과 하지현 교수는 “최근의 연구를 보면 뇌에서 일어나는 메커니즘은 인터넷 게임 중독자나 마약 중독자나 똑같다”며 “인터넷 게임도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극명하게 보여주는 뉴미디어 세계 각 지역들의 크고 작은 네트워크들이 공동의 전송
조절
프로토콜과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통해서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컴퓨터로 제어되고 만들어지는 가상세계통신 시민을 뜻하는 전자통신시대의 세계인언론사의 데스크처럼 기사나 보도내용을 ... ...
원전사고 예방하는 '수호천사'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맡고 있다.원자력발전은 우라늄의 핵분열 시 감속재와 제어봉을 통해 연쇄반응을 적절히
조절
해 이때 생기는 열로 증기를 만들어 그 힘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든다. 화력발전이 석유나 석탄으로 물을 끓인 수증기로 터빈을 돌려서 발전한다면 원자력발전은 원자핵이 분열할 때 나오는 에너지를 ... ...
크리스마스 때 DNA맞춤식단 주문할까?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세계 각국의 전문가 50여명과 실험참가자 500여 명이 참여했다. 한번은 10일만에 음식
조절
만으로 콜레스테롤과 혈압을 내려 보자는 계획을 짰다. 실험참가자들은 달콤한 음식 대신 원시시대 조상이 먹었을 법한 생채소와 견과류, 소금을 치지 않은 생선을 섭취했다. 그 결과 목표를 달성한 것뿐만 ... ...
아침에 기분좋게 깨워주는 친구 닥터라이트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밝게 켜놓았다가 서서히 소등되는 기능도 있어서 잠자고 일어날 때까지 수면습관을
조절
할 수 있다.닥터라이트는 서울아산병원 정신과에서 임상시험을 했다. 일주기 리듬장애의 일종인 지연성 수면 위상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주간 실험한 결과, 아침에 잠에서 깰 때의 졸린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RNA(miRNA) 발현 패턴을 분석하는 새로운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miRNA는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
하는 분자로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줄기세포의 miRNA 발현 패턴을 비교하면 줄기세포 사이에 분화능과 증식력이 차이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줄기세포은행 있어야줄기세포의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