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병원인 밝혀줄 유전자 변이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개개인의 유전자 차이를 보여주는 유전자변이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미국 펄리건사이언스사는 유럽계, 아프리카계, 중국계 미국인 71명의 DNA를 분석한 결과 158만 개 ... .1%에 해당한다. 2001년 인간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된 후 세계 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벌여온
핵심
연구과제 중 하나다 ... ...
면역 높여 암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기술이 개발됐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면역학연구실 최인표 박사는 “체내 면역체계에서
핵심
기능을 하는 자연살해(NK)세포가 골수의 줄기세포에서 생성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월 22일 밝혔다. 자연살해세포는 혈액 내 백혈구의 일종으로 체내에서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성과는 꽤 많다. 선박 표면 마찰저항을 줄여 연료비를 절감하는 기술이나 자동변속기의
핵심
부품인 토크컨버터는 그 중 수작으로 꼽힌다.성 교수는 “유동제어연구실의 연구들은 하나같이 여러 면에서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내실있는 연구”라고 강조한다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모양을 바꿔 자연선택과 도태라는 엄청난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이처럼 유전자가 진화에
핵심
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증명됐다. 오늘날 인류는 생명과학의 발전으로 유전자를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게 됐다. 인류의 유전자 ‘선택’이 진화에 과연 어떤 영향을 줄지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학계와 전문가 그리고 일반 국민 사이에 끊이지 않았다.논쟁의
핵심
은 ‘기준을 땅밑 지질로 삼느냐 아니면 땅위 지형으로 삼느냐’하는 산맥의 개념 문제와 ‘특정 산맥이 존재하느냐 아니냐’하는 실체 문제였다. 이처럼 20년이 넘도록 지속돼 온 한반도 산맥체계에 대한 ... ...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선택되는 RNA도 달라지므로 원하는 성질을 갖는 최적 RNA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윈이론의
핵심
인 적자생존이 바로 이 단계에서 일어나는 셈.이렇게 선택된 극소수의 RNA에 다시 역전사효소를 가해 상보적 DNA 서열을 만든 다음, 이를 수십억배 증폭시킨다. 바로 이것이 개체수 증가에 해당하는 진화의 ... ...
새 산맥지도,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민족감정이 얹어져 비과학적인 주장이 오히려 각광을 받고 있다.이번 산맥 논쟁의
핵심
은 산맥의 정의를 어떻게 하느냐다. 새 산맥지도를 주장하는 국토연구원은 과학적 방법을 동원한 것처럼 주장하지만, 이 산맥은 결국 산의 능선을 이은 분수계에 불과하다. 지형학사전 어디에도 분수계를 ... ...
알코올 펑펑 쏟아내는 박테리아 나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자이모모나스에서 모두 1998개 유전자를 찾아낸 후 이 가운데 알코올 생산과정에서
핵심
적 역할을 하는 54개 유전자를 가려냄으로써 이 세균의 알코올 생산능력이 탁월한 이유를 밝혀냈다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이 성립되지 않는다.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의
핵심
은 이것이 전부다. 그가 위대한 것은 이처럼 시간의 상대성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은 상대적 시간과 상대적 공간을 결합시켜 시공간을 만들었다. 시간과 공간이 따로따로 노는 것이 아니라 시공간이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매달렸다. 통일장 이론은 특히 상대성이론의 중력을 양자역학의 세계에 적용하는 것이
핵심
과제였다.우리는 그의 시도가 성공하지 못한 것을 알고 있다. 과연 아인슈타인은 실패한 것일까. 오히려 우리는 아인슈타인의 노력에 감사해야 한다. 그는 분명히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론의 모순을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