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세는 문제를 탐구하는 것입니다. 대수기하학은 1차 다항식으로 직선이나 평면을 나타내고, 2차 다항식으로 타원이나 쌍곡선을 분석하는 것처럼 대수학을 통해 기하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허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조합론의 오래된 난제를 ... ...
- [필즈상 시상식 취재기]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그 뜨거운 현장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다시 여기로 돌아올 거예요”라며 안심시켜 주었습니다. 거짓말처럼 교수님은 1시 20분경 진짜 나타났고, “헥헥. 갈까요?”라며 곧바로 현장 연결 장소로 향했습니다. 계속되는 취재로 지쳐 보였지만, 물 한 모금을 마신 뒤 “안녕하세요!”라며 독자들을 향해 밝게 웃어줬어요. ...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몬트리올대학교 교수와 함께 ‘듀핀-쉐퍼의 추측’을 해결한 것입니다. 이 추측은 1941년에 발표된 문제로, 실수와 유리수의 오차가 특정 수준만큼 작을 때 이를 만족하는 유리수가 무한히 많은 경우가 언제 나타나는지 묻는 문제입니다. 즉 실수를 유리수로 근사시킬 때의 오차와 관련한 문제입니다 ... ...
- 확률론 방식으로 통계물리의 모형 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1~3차원과 4차원 이상의 유클리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일이 벌어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1982년 마이클 에이즌먼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와 위르크 프뢸리히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교수에 의해 5차원 이상의 경우는 증명됐지만, 4차원에서의 증명은 지난 30여 년간 해결되지 않은 ... ...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 수리물리학의 살아있는 전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예상보다 풀기 어려웠지만 포기하지 않고 풀었다고 해요. 리브 교수는 우리나라 나이로 91세이지만 고체물리학에 관해 아직도 연구하고 싶은 내용이 많다고 하네요. 호기심의 끝이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네더월드 정복하기 2. 보스 몬스터 잡고 보스 몬스터 잡고 신호기 만들자! 신호기 만들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어두컴컴한 네더 요새에 도착했다면, 최강 보스 몬스터 ‘위더’를 잡아봅시다. 그리고 위더가 떨어뜨린 네더의 별로 신호기를 만듭시다! ... 따르면 3층까지 필요한 블록의 개수는 83개이고, 4층을 만들기 위해선 맨 아래층에 9×9=81개의 블록이 더 필요하므로, 164(=81 + 83)개가 필요하답니다 ... ...
- [킹앤카] 소수의 아름다움을 연구한다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자연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정수’라고 해요. 그리고 정수 중에서도 약수가 1과 자기 자신밖에 없는 수를 ‘소수’라고 해요. 예를 들어 2, 3, 5, 7, 11 등이 소수이지요. 무한한 정수처럼 소수도 무한하다는 것은 이미 증명됐어요. 그린-타오 정리는 이렇게 무한한 소수를 ‘등차수열’로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최고 수학자와 미국 미시간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이 매달 1일 폴리매스 홈페이지 [폴리매스]-[대한수학회]와 [슬기로운 수학생활]에 문제를 출제합니다. 폴리매스 문제를 풀 아이디어나 풀이를 댓글로 남겨 보세요. 여러 회원이 함께 고민해 풀다 보면 해결하지 못할 문제는 없을 거예요 ... ...
- [공동기획] 미래 연구자를 키운다! 과학영재 창의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약 400만 원 내외의 연구비를 지원합니다. 이후 각종 컨설팅과 중간 성과 공유회를 거쳐, 11월 연구 보고서 평가, 12월 발표 평가를 진행해 최우수 R&E 20팀을 뽑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시상합니다. 또 논문 투고와 국제대회 참가 등도 지원합니다. 연구 과제는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학, ... ...
- [과학뉴스] 지도교수 몰래 표절했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논문에 관한 연구진실성조사위원회(연진위)를 열었다. 윤 교수는 표절 경위를 두고 “제1 저자가 공저자들도 모르게 취합 과정에서 논문을 수정했다”고 말해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연구 책임자가 논문이 수정됐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것은 논문 지도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뜻이기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