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배"(으)로 총 3,3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양초 거치대는 돌아갑니다. 빙글 빙글놀이터 l20200803
- 모든 실험에 도전하는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번 실험은 예쁜 양초를 만드는 실험이에요. 예쁜 양초를 100배 더 예쁘게 만들어주는 양초 거치대 만들기부터 향긋하고 아름다운 오렌지 양초 만들기까지! 예쁜 양초로 집안을 꾸며보는 건 어떨까요? 실험 1. 저절로 돌아가는 예쁜 양초 거치대 만들기! ※ 라이터, 송곳, 칼을 사용합 ...
- 거머리??탐사기록 l20200802
-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거머리인지 모르겠는데 집 앞 논에서 관찰한 생물입니다. 앞 쪽이 가늘고 뒤쪽이 더 두꺼웠어요. 머리쪽에 진흙 같은게 묻어 있어요.건져 보았습니다. 배 부분논으로 다시 갑니다.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
- 귀여운 열대어, 골든볼 라미네지기사 l20200802
- 있길래 저는 무슨 일인지 싶었습니다. 그런데 암컷의 배를 보자, 산란관이라는 알이 나오는 곳이 눈에 띄게 돌출되어있었고 암컷의 배는 터질 듯 빵빵했습니다. 산란 징후를 목격하고 저는 이번에는 방해하지 않기 위해 이면지로 엉성하게나마 어항을 가려줬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말이죠. 그리고 숙제를 모두 끝낸 밤 11시경, 아래 사진처럼 ...
- 티컵 강아지의 불편한 진실기사 l20200801
- 연약함으로 단명(=명이 짧아서 일찍 죽음)한다고 하네요. 즉 보기에는 귀여우나 실상은 애완견 학대인 셈입니다. 크기에만 집착해 교배시키다 보니 개가 유전질환에 쉽게 노출된다는 겁니다. 작은 충격에도 골적되기 쉽고, 저혈당증이나 심장과 호흡기 관련 질환에 걸릴 확률도 높다고 해요. (뇌수두증, 기관허탈증, 슬개골 탈구 등) 수명: 유전자를 변 ...
- 코끼리의 세포가 쥐의 세포보다 클까?기사 l20200801
- 많이 들어가는 달걀이나 타조알, 개구리알은 현미경 없이도 볼 수 있는 세포입니다. 따라서 가장 크기가 큰 세포는 달걀보다 약 20배가 큰 타조알입니다. 세포에는 '동물세포'와 '식물세포'가 있습니다. (출처: SSAMS님의 블로그) 두 세포의 차이가 보이시나요? 식물세포는 서로 붙어있지만, 동물세포는 서로 붙어있지 않습니다. (출처: Z ...
- 미국하면 떠오르는! 자유의 여신상기사 l20200801
- 합니다.) 자유의 여신상은 1875년에 만들기 시작해서 1884년에 완성되었습니다. 잠시 프랑스 파리에 서있다가 1885년 미국으로 배타고 이송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1886년 뉴욕에 세워졌습니다. 자유의.여신상은 동으로 만들었는데 여신상 무게는 무려 225t이나 된다고 합니다. 횃불까지의 높이는 약46m 정도고요, 지면에서 횃불까진 93. ...
- 코딩로봇 지니봇 체험~!!기사 l20200731
- 개발자인 대표님께서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서 직접 개발하셨다고 한다. 대표님 말씀이 코딩을 실전으로 하며 공부하면 학습효과가 1.3배가 더 높다고 하셨다. 코딩의 가장 큰 장점은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한다. 지니봇 박스를 풀문 육면체 모양의 지니봇을 만날 수 있다. 지니봇은 스마트폰으로 지니봇 어플 ...
- 귀여운 새,펭귄에 대해 알아 보자!기사 l20200730
- 40cm에서 120cm입니다. 펭귄이 작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크네요. 모두가 알고 있듯이 등은 검은색이고 배는 하얀색입니다. 아기펭귄의 배는 회색이지만요. 사진에서 아빠펭귄 발 밑에 있는 아기펭귄이 보이죠? 사진에서 보실 수 있듯이 아기펭귄은 아빠 펭귄이 돌본답니다. 엄마펭귄은 무얼 할까요? 아빠펭귄에게 아기를 맡기고 먹이를 구 ...
- 꼭 한번 가봐야 하는 국립 중앙 과학관기사 l20200730
- 대전 국립 과학관 앞, 사진 촬영장) (자연사관) 보이는 것의 한 2-3배 크기 안녕하세요. 정하윤기자입니다. 오늘은 꼭 가 보셔야 할 과학관 한 곳을 소개 해 드릴거에요. 대전에 있는 과학관으로 국립 중앙 과학관입니다. 저도 얼마 전에 그곳을 가봤는데 최고였습니다. 원래는 모든 전시관이 문을 열었지만, 지금은 ...
- 아보카도의 거대한 씨기사 l20200728
- 숲을 파괴한다는 것이죠. 멕시코의 한 해에만 여의도 면적의 두배가량의 숲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니 최~대한 가까운 곳에서 재배되는 아보카도를 먹어야 겠죠^^. 자,여러분 지금까지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여러분 코로나19조심하세요^^ 그러면 안녕!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