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장
지팡이
치장
장식
제단
신단
손지팡
뉴스
"
단장
"(으)로 총 2,1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도한 공포로 병원 옮겨다녀 감염 확산… 의료진 믿어야”
동아일보
l
2015.06.10
강조했다. 한편 그는 9일부터 후쿠다 게이지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차장과 공동
단장
을 맡아 역학조사와 감염관리 등 분야별 토론, 병원 방문 등을 통해 한국 메르스 확산에 대한 분석도 진행한다. ▼ 2009년 신종플루 방역 총지휘… 전병률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 ▼ 새로운 슈퍼전파자 차단 급선무… ... ...
거대마젤란망원경(GMT) 설계 끝, 건설 스타트
2015.06.03
10배 선명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박병곤 한국천문연구원 대형망원경사업
단장
(GMTO 한국대표)은 “협약에 따라 우리나라 기술진도 건설에 참여하게 된다”며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 건설인 만큼 국내 천문학 연구 수준도 큰 폭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경찰 RNA’ 만드는 단백질 복합체 구조 규명
2015.05.29
만드는 ‘드로샤 단백질 복합체’을 발견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최근 김
단장
이 이끄는 RNA연구단이 세계 최초로 드로샤 단백질 복합체를 균일하게 정제하는 데 성공해 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셀’ 2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드로샤는 다른 단백질과 결합한 복합체 형태로 ... ...
얇고 잘 늘어나는데 아이폰6보다 7배 더 선명
2015.05.14
웨어러블 기기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
단장
팀은 변형이 자유로우면서도 낮은 전압에서 작동해 피부에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가능한 양자점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진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양자점 LED 기술을 ... ...
韓 연구진 “힉스 이후 최대 성과” 수확에 기여
2015.05.14
한국 연구팀이 개발에 참여한 뮤온 검출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최수용 한국 CMS사업
단장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은 “한국 연구진이 크게 기여해 얻어낸 결과”라면서 “이번 발견으로 현대물리가 이뤄낸 표준모형이 좀더 견고해졌다”고 밝혔다. ... ...
분자 속 전자 궤도 보는 새로운 ‘눈’ 얻었다
2015.05.11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창희 기초과학연구원(IBS) 초강력레이저과학연구
단장
팀은 광주과학기술원(GIST) 고등광기술연구소와 공동으로 분자가 지닌 다양한 전자 궤도를 관측할 수 있는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펨토초(1000조 분의 1초)라는 극도로 짧은 ... ...
첨단과학 이끄는 광학기술 현주소
2015.05.03
뿐 구체적인 방법은 알지 못했다. 토마스 인셀 미국 국립보건원(NIH) 정신건강연구
단장
은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과 함께 좋은 기억과 나쁜 기억이 저장될 때 뇌의 보상회로와 공포회로가 활성화되는 정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좋은 일을 겪은 뒤에는 뇌의 보상회로가 활성화되면서 그 ... ...
스티브 그래닉 IBS
단장
, 미국 국립과학원 신규 회원 선출
2015.04.30
거쳐 논문을 실을 수 있다. IBS는 신희섭 인지 및 사회성연구
단장
, 김빛내리 RNA 연구
단장
을 NAS 회원으로 배출한 바 있다. 이들을 포함해 한국인 또는 한국 기관 소속 과학자 중 NAS 회원으로는 이호왕 고려대 교수, 임지순 서울대 교수 등 총 5명이다. ... ...
좋은 기억 vs 나쁜 기억, 뇌에 기록되는 경로 달라
2015.04.30
평소에 비해 대수롭지 않게 넘긴다. 토마스 인셀 미국 국립보건원(NIH) 정신건강연구
단장
은 뇌에 좋은 기억과 나쁜 기억이 저장될 때 활성화되는 회로가 서로 다르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29일자에 발표했다. 좋거나 나쁜 감정이 뇌에 기록되는 경로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은 이전에도 ... ...
“통합과학, 물화생지 벽에 갇혀 있다”
2015.04.29
○ 학습양 20% 줄이기 찬반 거세 학생들이 배워야 할 ‘양’도 논란이 됐다. 장영록
단장
은 “기존 과학 과목에서 배워야 하는 내용의 80% 선으로 줄이는 것이 기본 방향”이라고 밝혔다. 한마디로 20%의 내용을 빼겠다는 것이다. 곽영순 연구위원은 “정부가 기대하는 것은 20%의 시간 동안 다양한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