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29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1.30
촬영된 2차원 영상과 3차원 캐릭터들을 자연스럽게 합성시켜야 했어요. 예전에는
사람
이 2차원 영상을 보면서 일일이 정보를 입력해서 3차원으로 바꾸었어요. 이렇게 하면 3~5초짜리 한 장면을 만드는 데만 꼬박 하루가 걸리지요. 그래서 전 수식을 적용해 버튼 하나만 누르면 2차원 정보를 자동으로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5.11.30
그림을 더한 새 달력이 판매대를 가득 메운다. 하지만 새 달력 구하기를 차일피일 미룬
사람
에겐 새해가 밝아도 여전히 작년 달력뿐이다. 날짜와 요일이 고정돼 있다면 어떨까. 적어도 해마다 새 달력을 구하는 수고는 덜 것 같다. 과거 소련(지금의 러시아)이 썼던 주5일 시스템 달력체계는 공장을 ... ...
햄 기사의 진실
수학동아
l
2015.11.30
직접적으로 암을 일으키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가공육을 술안주로 즐겨 먹는
사람
은 가공육이 아닌, 술 때문에 암에 걸렸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 요인을 빼고 가공육과 암의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가공육을 건강하게 먹을 수 있게 돼 건강도, 입맛도 포기하지 않게 되길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AI 전파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과학동아
l
2015.11.30
않기 위해서다. 그런데 20세기 들어 이전과 전혀 다른 목적으로 동물들을 쫓아다니는
사람
들이 생겼다. 바로 ‘동물추적(Animal Tracking)’ 연구를 하는 과학자들이다. 위치만 조사하는 게 아니다. 동물을 통해 오지 환경까지 연구하고 있다.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1. AI 전파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동물의 의사소통을 엿보다
과학동아
l
2015.11.30
단계다. 철새추적연구도 AI가 아니었다면 하기 어려웠을 정도다. 경제적인 이윤이나
사람
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가 아니면 연구하기 힘든 상황인 것이다. 한승우 연구원은 “미국과 유럽은 자국에 서식하는 모든 새들의 이동경로를 이미 파악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새들의 이동경로는 대부분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젠투펭귄과 턱끈펭귄이 알려주는 지구온난화
과학동아
l
2015.11.30
않기 위해서다. 그런데 20세기 들어 이전과 전혀 다른 목적으로 동물들을 쫓아다니는
사람
들이 생겼다. 바로 ‘동물추적(Animal Tracking)’ 연구를 하는 과학자들이다. 위치만 조사하는 게 아니다. 동물을 통해 오지 환경까지 연구하고 있다.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1. AI 전파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 ...
빨리 나는 새가 대장 된다
2015.11.29
길을 학습하는 능력이 좋아진 것이다. 연구팀 측은 “자동차를 탈 때 운전대를 쥔
사람
이 길눈이 더 밝다는 ‘동승자-운전자 효과’와 같은 이치”라며 “이번 결과가 새를 비롯해 다양한 동물의 리더십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 ...
파리에서 기후변화 막는 묘안 나오나
2015.11.29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를 맞아 ‘네이처’는 에펠탑 앞에서 여러 나라
사람
들이 세계 지도가 그려진 퍼즐을 맞추는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모든 나라가 참여해야 “지구 기온 상승을 2도 내로 억제한다”는 COP21의 개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은 것이다. 12월 1 ... ...
드론, 예술을 탐하다
2015.11.29
추는 것처럼 곡선으로 이뤄져 있어 각 벽돌이 쌓이는 위치와 각도가 매우 중요하다. 여러
사람
이 눈대중으로 탑을 세워서는 만들 수가 없는 구조다. 그렇다면 드론은 어떻게 이 탑을 세웠을까. 우리 눈에는 여러 대의 드론이 ‘벽돌탑을 세워라’라는 하나의 명령에 각자 알아서 해야 할 일을 맡아 ... ...
[삼시세끼 어촌편2]유해진이 낚은 만재도 3대장의 마지막은 참돔?
동아사이언스
l
2015.11.27
생긴 것이 아름다운데다 크기가 커 살이 많은 덕분이었습니다. 심지어 그 살이 우리나라
사람
들이 좋아하는 담백한 흰 살 생선이었지요. 이는 참돔이 육식성 물고기기 때문입니다. 향이 강한 식물성 먹이 대신 단백질이 많은 동물성 먹이를 먹는 물고기들은 담백한 맛이 납니다. 참돔 역시 어릴 때는 ... ...
이전
1947
1948
1949
1950
1951
1952
1953
1954
19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