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점점 더 크게 해가고 있는데, 1차 목표는 인슐린으로 파동성을 보이는 것이다.그렇다면 결국에는 고양이로도 파동성을 보일 수 있다는 말일까? 고양이 한 마리를 이중슬릿에 던지면 벽에 여러 개의 줄무늬가 생길까? 차일링거의 대답은 간단하다. 물론! 단, 풀러렌의 실험에서 중요한 것이 하나 있다. ... ...
- BRIDGE 전쟁, 학문을 낳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된 것은 잠수함전 준비 덕분이다. 그렇지만 전쟁연구가 아니어도 (시기는 늦어졌겠지만) 결국 이런 성과가 나왔을 것이다. 전쟁과 과학연구 모두 인간의 필요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은 아닐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는 전쟁을 멈출 수 있을까?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 ...
- PART2 서로 돕고, 교역하고, 견제하라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억지하기 위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파국은 한번에 올 수 있다미래에는 결국 전쟁이 없어질 수 있을까? 아쉽게도 현재의 질서를 한 번에 무너뜨릴 수 있는 변화가 온다면 인류는 다시 원시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민병원 교수는 자신의 논문 ‘전쟁의 규모와 빈도’에서 “규모 7 이상의 ...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수용체가 암세포의 항원과 결합해버려 T세포가 암세포를 외부 침입자로 인식하지 못하고 결국 암세포가 살아남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수용체가 암세포의 항원 대신 결합할 다른 무언가를 넣어줄 수밖에.앨리슨 교수는 ‘이필리무에맙(Ipillimumab)’이라는 항체를 개발했고, 이를 쥐에 주입해 암 ...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다른 국가와 회담을 하거나 교역을 할 때 일정 착오가 생기면서 불편이 가중됐다. 결국 나폴레옹이 황제로 등극한 뒤, 프랑스 혁명력을 폐기했다. 1805년까지 12년 동안 프랑스 혁명과 관련된 기록이 이 달력을기반으로 써졌다. 그 바람에 후대의 역사학자들은 프랑스 혁명력과 그레고리력의 환산표를 ...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남극 오존구멍을 보고 사람들은 지구 전체에서 일어나는 오존층 파괴를 실감하게 됐고, 결국 1989년 몬트리올의정서를 맺으며 CFC 감축에 합의했다. 그 결과 감축 이래 가장 두터운 오존층이 2012년 관측됐다. CFC 감축이 없었다면 우리는 지금쯤 피부암 등을 일으키는 자외선 폭격을 맞고 있을지 모른다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어떻게 알아보는지 단정할 수 없지만, 똑같은 옷을 입히고 걸음걸이도 비슷했기 때문에 결국 얼굴로 알아본 것이라는 결론을 내게 됐다.서울대 캠퍼스 내에서, 까치 둥지 근처를 지나다니는 사람의 수는 하루 수십 명 이상이며, 특히 학생회관 근처의 둥지를 지나는 사람은 족히 백 명이 된다. ... ...
- 아이컨택하면 정말 내 말에 넘어갈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위협적인 메시지를 줄 수 있다. 그 결과 사람들은 더 크게 저항하며 마음을 닫게 된다. 결국 눈을 많이 마주쳐서 오히려 설득력이 떨어지는 셈이다.이렇게 대상이나 상황에 따라 아이컨택을 위협적으로 느끼는 현상은 일상에서도 자주 나타난다. 보통 부모님, 교수님, 상사 등 나를 위협할 수 있는 ... ...
- Part 1.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근육은 큰 힘을 내는 데 중요하고 깊은 곳에 있는 작은 근육은 균형을 잡는 데 중요하다. 결국 ‘뱃심’이 좋아 고난이도 점프를 해도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사이클로 타이어 끌어 만든 23인치 허벅지국제빙상연맹(ISU) 홈페이지에 등록된 이상화의 별명은 ‘Ggul Beok Ji(꿀벅지)’다. 실제로 그녀의 ... ...
- 양자역학이 무거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만날수 있는 이상한 명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재구성했다.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은 결국 일어난다’, ‘두 장소에 동시에 존재하는 것들’ 같은 소제목들이 그 명제들이다.두 책 모두 초기 양자역학의 역사에만 머물지 않고 최근으로 시선을 넓힌 점도 주목할 만하다. ‘퀀텀 스토리’는 힉스 발견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