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놓은 경우에는 순화행동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으면 면역성을 상실, 말미잘의
먹이
가 되고 만다. 더 놀라운 것은 이 면역에는 개체식별의 메커니즘도 포함돼 있다는 사실이다. 말하자면 어떤 특정한 말미잘에는 순화돼 있을지라도 그 면역성이 같은 종의 다른 개체에는 통용되지 않는 것이다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야산으로 내려온다. 눈이 많이 내린 해에는 심하게 허기를 느낀 노루가 마을까지
먹이
를 찾아 내려오는 것을 볼 수 있다.이듬해 4월이 와도 일부 수컷은 산으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하지만 암컷은 새끼를 낳기 위해 산으로 올라간다. 맷돼지와는 정반대로 서식처를 바꾸는 노루는 여름엔 높은 곳으로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변화가 머리부분에 있는 감각기에 잡히게 되면 작은 물고기의 운명은 그것으로 끝난다.
먹이
의 위치를 포착한 짐나르쿠스는 정확하게 겨냥을 한 뒤 덥석 문다.5 ②비둘기가 낯선 땅으로부터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은 두가지 능력을 초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태양을 보고 방향을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이 곳의 송어들은 비록 양식된다고는 해도 다른 양식장의 송어들처럼 사람을 보고
먹이
를 받아먹기 위해 앞다투어 몰려들지는 않는다. 오히려 자연에서만 자란 동료들처럼 사람을 조심스레 피해가는 것이다.이런 방법이 얼마나 실용화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지만 적어도 앞으로 '모자라는 송어는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달팽이 민달팽이 도마뱀 장지뱀 야생조류의 알 들쥐 잡초의 뿌리 과일 등을 좋아한다.
먹이
가 없을 때에는 민가에 있는 양계장에 침입, 달걀을 훔쳐 먹는 경우도 있다. 동물원이나 집에서 사육해 보면 미꾸라지 토마토 오이 건빵 참외 식빵 등도 잘 먹는다.고슴도치는 쥐나 해충 특히 바퀴벌레를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부락공동의 것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길가는 나그네도 어디서나 안심하고
먹이
를 구할 수가 있게 되었다.이런 습관은 아프리카의 오지에 사는 수렵 민족 가운데서도 찾아볼 수 있다.중동지역 아랍민족의 경우 부자는 반드시 빈민을 구제해야 한다. 빈민도 부자에게 손을 내미는 것을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해되지 못한 복잡한 생리현상이다. 그런가 하면 세밀한 입의 구조는 물에서 특별한
먹이
를 취하는 데 알맞도록 잘 발달돼 있었다.이렇게 정교하고 발달된 동물들이 갑자기 그리고 다양하게, 가장 오래된 캄브리아기 지층에서 발견되는데 이들의 조상은 어디에 있는가.곤충의 화석도 고생대의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사는 장소를 보다 시원한 데로 이동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계절이 바뀌면 보다 풍부한
먹이
를 찾아 대집단이 원거리 이동하는 경우와는 달리 비교적 국지적인 소규모 이동을 말한다.예를 들어 하나의 산 안에서 양지에서 음지로, 등성이에서 계곡으로, 들에서 숲으로,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수평이동 ... ...
동물계의Mr. 클린 오소리 "나와 너구리를 같이 취급하지 말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5주일만에 눈을 뜨게 되고 1개월 정도 지나면 멧토끼만하게 자란다.어미는 새끼 스스로가
먹이
를 구할 수 있을 때까지 땅속의 지렁이나 나무뿌리 등을 새끼에게 먹인다. 새끼들은 10월 초 어미의 집을 떠나지만 가끔 어미를 찾아온다. 오소리의 새끼는 약 2년이 지나면 완전히 성숙하며 수명은 12~15년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봐도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젖
먹이
동물인 회색고래의 시토크롬C는 같은 젖
먹이
동물인 원숭이 보다 오리의 그것에 더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또 두꺼비는 방울뱀 보다 초파리와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치의 시토크롬C도 같은 어류인 돔발상어(dogfish)보다 오히려 토끼의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