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매머드 피는 특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케빈 캠벨 교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아델라이드대학교의 알랜 쿠퍼 박사는 4300년 전에
살
았던 저의 피를 복원해 분석했어요. 그 결과 제 핏속 헤모글로빈은 추위에 몹시 강한 것으 로 나타났답니다. 제 피가 추위를 견뎌 낸 비밀인 거죠.엣? 도대체 어떻게 피를 복원한 건가요?캠벨 교수는 얼어 있는 ... ...
우리 돈과 외국 돈이 만났을 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5달러에
살
수 있어요. 달러가치가 낮아져 1달러가 1000원이 되면 같은 상품을 6달러를 줘야
살
수 있겠죠. 외국사람에게는 가격이 비싸지는 셈이 되니까 물건을 사지 않으려고 하겠지요. 그러면 수출이 줄어들고 다시 환율이 높아지게 된답니다.환율을 올리느냐 내리느냐의 문제 때문에 세계는 치열한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제공하는 회사인 (주)에스이랩의 오승준 대표는 “우리의 삶에서 통신과 전기를 없애면
살
수 있겠나”라고 반문하며 “한순간 모든 시스템을 무력화할 수 있는 태양폭풍을 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나중에 더 큰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 대표는 “자기장 교란은 고위도에서 잘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키고 외부 집단에 손실을 끼치려는 경향이 높아졌다.연구자들은 “인류가 집단을 이뤄
살
아가면서 외부 집단에 맞서 싸워 이긴 집단만이 생존할 수 있었다”며 “자기집단중심의 이타심은 자기집단에 위협이 되는 외부에 대한 적개심과 맞물려 있고 그 생물학적 밑바탕에 옥시토신이 있다”고 ... ...
뇌병변도 막지 못한 청년 과학자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미시건대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로봇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김 씨는 태어나고 7
살
때까지 걷지 못했다. 어머니의 등에 업혀 병원, 한의원, 민간요법 치료소 등 좋다는 곳은 어디든 찾아 다녔다. 오랜 치료가 효과가 있어 일상생활을 할 수 있게 됐지만 아직도 그는 몸을 마음대로 움직이기가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가 없었으며, 포식자인 새에게 잘 띄어 잡아먹히기가 쉬웠다. 결국 검은 후추나방이
살
아남기에 유리했던 것이다. 최근에는 회색 후추나방이 다시 늘고 있다. 학계에서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자연을 지켜온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다.나뭇가지 재고 다니는 자벌레꼬불꼬불 말려 있는 덩굴을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독자들을 매료시킨다.과학이란 무엇인가. 이 책은 세상 모든 것이 존재하고 생명체가
살
아 숨 쉬는 것에 대한 진리일 뿐 아니라 과학자들이 사실을 알아내기 위해 투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세상을 바꾼 아이디어와 위대한 생각들이 어떤 맥락에서 탄생했는지, 지금 우리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등을 ... ...
살
빼면 건강 해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혈관 속으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연구팀은 1년 정도의 단시간 동안
살
을 뺐을 때도 비슷한 결과가 나오긴 했지만 연관성은 낮았다고 밝혔다. 연령, 성별, 인종 등 혈중 POP수치의 차이를 설명할 있는 여러 가지 변수도 감안했지만 체중 변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교수는 “이 ... ...
[심리학 테라피] 영화 인셉션 과 인간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대상이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사랑 받지 못했다는 피해의식 속에서
살
고 있다. 그래서 피셔가 무의식에서 아버지를 찾아가는 과정의 배경은 아름다운 해변이 아닌, 눈발이 흩날리는 겨울산이다. 그만큼 그의 마음속은 얼어붙어 있다.하지만 이 역시 자기만의 생각이었음을 꿈을 ... ...
When Animals Think and Talk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크다’라는 카드와 ‘물’ 카드를 함께 사용해 ‘홍수’라는 말을 만들었다. 칸지가
살
고 있는 연구소가 위치한 미국 아이오와 주에 홍수가 발생한 적이 있다. 홍수가 잦아든 뒤 보노보들은 그들이 보았던 것(홍수)을 지칭하기 위한 단어를 발명한 것이다. 보노보들은 또한 ‘빵’ 카드, ‘치즈’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