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d라이브러리
"
시대
"(으)로 총 5,521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올렛 MIT 창업지원센터 소장이 연사로 참여했다.이수만 회장은 ‘21세기는 문화 기술의
시대
’임을 역설했고, 이재웅 사장은 “창업은 희소성이 있는 소재가 중요하지만 거창한 사업계획서보다 중요한 건 여러분들 가슴 속에 있는 꿈”이라고 강조했다. 놀라운 것은 이 행사를 모두 대학생들이 ... ...
과학기자, PD는 어떤 사람이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없다. “네가 자라서 어른이 됐을 때에는 ‘돈’보다는 ‘행복’을 가진 사람이 성공한
시대
가 올거라 믿어. 그때 진정 행복해지려면 지금부터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하고 준비해야 해. 16살이면 충분히 깨달을 수 있는 나이야.” ... ...
스티브 잡스를 꿈꾸십니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위대한 탄생’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한 사람의 개인에게도 조명이 쏟아지는
시대
가 왔다. 이러한 때가 여러분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다. IT사업가 되기 위해서는 논리성과 함께 창의적인 감성도 뛰어나야 한다. 지금까지의 IT전문가들은 창의적이고 거시적인 면을 담당하는 우뇌에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합성 능력은 새로운 기능 소재 및 재료의 개발을 가능하게 해 20세기 후반에는 전자·정보
시대
의 도래에 촉매가 됐다. 화학 지식과 기술은 생명과학의 발전에도 밑거름 노릇을 하고 있다. 바야흐로 화학은 현대과학기술의 중심을 차지하면서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11 세계 화학의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할 수도 있다. 결국 질라드 엔진이 맥스웰의 도깨비가 아니라는 얘기다.21세기는 정보화
시대
라고 한다. 이는 주로 인터넷의 발전에 힘입은 바 크다. 정보는 엔트로피로 정량화되며 이를 정보 엔트로피라 부른다. 정보 엔트로피는 물리적 엔트로피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정보에서 에너지를 ... ...
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만들면 멋진 옷을 만들 수 있다. 같은 화학물질이 옷도 되고, 페트병도 된다. 이제 막
시대
를 열어가는 전자책의 디스플레이도 플라스틱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1998년 출시된 이래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비아그라도 실험실에서 만든 화학물질이다. 비아그라는 남성의 삶을 윤택하게 ... ...
에너지 해결책 찾아 지구 한바퀴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들이 취재한 내용은 현재 지구가 맞닥뜨린 거의 모든 에너지 문제를 포함한다. 구
시대
의 에너지라는 화석연료와 최근 ‘르네상스’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원전, 신에너지로 불리는 수소전지와 핵융합에너지, 그리고 풍력과 태양열 등 재생에너지다.과학과 경제학을 훈련한 두 친구의 눈은 ... ...
“도전하는 학생들의 IT 창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시작해 상업교육의 효시를 열고 인재를 배출해왔다. 그러다가 2001년 정보화
시대
를 맞아 IT 특성화고로 전환했다. IT를 대표하는 핵심어인 ‘인터넷’을 학교 이름으로 붙였다. IT기반의 전문성과 감성, 글로벌 마인드를 갖고 있는 세계적인 리더를 키우고 있다.학과는 어떻게 나뉘는가?정보통신과, ... ...
과학을 그린 화가 홀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정확한 지도를 만들었어요. 이처럼 그림 속 도구들은 천문학과 항해술 등 르네상스
시대
에 발달한 과학은 물론 사회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답니다.일상화 속에 볼록거울이?한스 홀바인이 초상화를 그리기 전에는 많은 화가들이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일상을 그림으로 그렸어요.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10회 정도다. 2004년 경북 울진군 앞바다에서는 규모 5.2의 지진이 일어난 적이 있다. 조선
시대
의 기록을 담은 조선왕조실록에도 집이 흔들리고 성벽이 무너진 기록들이 많이 나타난다.또한 일본의 북서쪽에서 큰 지진이 발생하면, 우리나라 해안에도 지진해일이 몰아닥칠 수 있다. 1983년에는 일본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