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사람만 정보를 해석할 수 있어요. 만일 해커가 중간에 광자를 훔쳐보려고 하면 관측 시 하나의 값으로 결정되는 양자의 특성 때문에 해킹이나 복제를 할 수 없게 돼요. 동시에 정보를 주고받던 사람은 해커의 존재를 바로 알아챌 수 있지요.지난 6월 16일, 중국 과학기술대학교 판지안웨이 교수팀은 11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일이 아니라 나의 이익과 직접 관련이 있는 거죠. Q 사회역학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사회역학을 하기 위해 꼭 의학을 전공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회역학은 치료보다는 예방에 더 관심을 많이 갖기 때문입니다. 데이터를 근거로 하므로 통계 등 수학 능력은 기본이고요, 사회학을 전공한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달걀에 갑옷 입히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그런 건 아니고요, 샤워실 바닥에 쭈그려 앉아서 비눗방울 놀이를 했죠. 이때 깨달은 게 하나 있는데, 샴푸에 물이 어느 정도 섞여 있어야 비눗방울이 잘 생긴다는 사실이었어요. 이 영상 속 비눗방울 달인은 비눗방울을 더 잘 만들기 위해 자신만의 비눗물 레시피를 만들었더라고요. 저도 비눗방울 ... ...
- 빙하 감시단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먼저 떠오르는 건, 빙하가 아닐까요? 이번 항해에선 남극에서 가장 빠르게 녹는 빙하 중 하나로 잘 알려진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를 우리나라 최초로 탐사했어요. 녹아내리는 빙하를 사수하라!지난 5월 25일, 기자는 극지연구소를 찾아 스웨이츠 빙하* 조사에 참여한 윤숙영 박사님을 만났어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림 20개가 담겨 있어요. 착시 그림을 보면 점이나 선, 도형들이 움직여 보이기도 하고, 하나의 그림인데 보기에 따라 여러 개로 보이기도 하지요. 먼저 그림을 요리조리 보며 착시를 체험해 보세요. 그런 다음 그림 아래의 설명을 보면 왜 착시가 일어나는지 이해할 수 있어요.색 착시를 일으키는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초강력 드라이아이스 펀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슬슬 학교에 등교하는 친구들이 하나 둘 생기는 것 같소. 오랜만에 친구들을 만나니 굉장히 반갑지 않소? 그래도 아직은 생활 속 거리두기를 지켜야 하니, 친구들과 과학 영상을 볼 때엔 한 화면에 모여서 보지 말고, 영상의 링크만 공유해서 따로 보는 것이 좋겠소! ● 초강력 드라이아이스 펀치!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대성운’ 등 우주 다양한 곳에서 별 탄생의 순간을 목격했어요. 가장 유명한 곳 중 하나는 지구로부터 7000광년 떨어진 독수리 성운이에요. 1995년, 허블우주망원경은 ‘창조의 기둥’이라 알려진 독수리 성운 중심부의 한 지역을 촬영했어요. 이 기둥 모양의 가스와 먼지가 뭉쳐지며 별이 탄생하는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썼지요.‘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서 ‘2019년 가장 아름다운 과학 GIF’로 선정된 것 중 하나는 미국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의 세포생물학자 앤드루 무어 박사후연구원이 만들었어요. 당시 펜실베니아대학교에서 일하던 무어 연구원은 태아 쥐의 뉴런*이 성장하는 동안 ‘액틴’의 모습을 담았지요. ... ...
- [퍼즐라이프] 해법 없이도 해결! 루빅스 큐브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각도에 따라 알파벳에 ‘′’이나 ‘2’를 붙여 나타냅니다.회전 기호를 여러 개 조합해 하나의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a=R′U2 라는 공식은 큐브의 오른쪽 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90° 돌린 뒤 위쪽 면을 180° 돌린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회전시킨 큐브를 다시 원래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윌슨은 한라산과 지리산에서 구상나무를 관찰한 뒤, 이를 전나무속 분비나무와 구분되는 하나의 새로운 종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1920년 학계에 ‘Abies koreana’라는 이름으로 보고했다. 이 과정에서 윌슨은 한국에서 구상나무 씨앗을 가져와 아놀드식물원에 심었는데, 이것이 자라 큰 나무가 됐다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