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3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습기 살균제 참사, '살인적 사용법' 책임 물어야
2023.12.20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 증상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결국
사람
에게 나타나는 질병의 원인을 쥐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제조사와 전문가의 주장은 처음부터 믿을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더욱이 낮은 농도의 만성 독성물질에 의해서 나타나는 2차‧3차 증상까지 쥐 ... ...
"자고 깨는 시간 너무 일정해도 치매 위험 상승"
연합뉴스
l
2023.12.19
치매 위험이 커진다는 것은 이해가 어려울 수 있지만 잠이 규칙적인
사람
과 불규칙한
사람
모두 뇌의 회색질과 기억 중추인 해마의 용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 참가자 중 뇌 영상 자료가 있는 소그룹(1만5천263명)의 뇌 영상 분석에서는 수면 규칙성이 뇌 회색질 및 ... ...
침팬지, 25년 이상 못본 동료 얼굴 알아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19
생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
에 대한 장기 기억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침팬지나 보노보도 이러한 패턴을 보인다는 것이다. 크루페네 교수는 “침팬지, 보노보와 같은 유인원은 수십 년 동안 보지 못한 동료를 인식한다”며 ... ...
뇌졸중 발병 연령 낮아졌다…"젊다고 방심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2.19
발생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ldpixel/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젊은
사람
도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고 원인질환을 잘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법 발전에도 불구하고 ‘젊은 뇌졸중’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 ...
사이언스, 비만치료제 등 ‘2023년 브레이크스루’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12.18
미국 뉴멕시코에서는 2만여 년 전
사람
발자국이 발견됐다. 방하기 때도 아메리카대륙에
사람
이 살았다는 증거로, 고고학자들의 기존 유추 시기를 약 5000년 앞당겼다. 해수면의 탄소가 심해로 이동하는 ‘생물학적 탄소 펌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보고도 나왔다. 이 펌프가 제대로 ... ...
"젊은 과학자 멘토 역할 할 해외 과학자 유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2.18
그들은 훌륭한 스승이 어떤 방식으로 실험실을 운영하고 연구를 진행하는지 직접 체득한
사람
들"이라고 말했다. 과학자를 본격 육성한 역사가 짧은 국내 연구 환경에서는 연구중 문제에 봉착한 젊은 연구자가 조언을 얻을 곳이 부족하다는 설명이다. 노하우를 보유한 해외 연구자들이 한국에서 ... ...
유전자교정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무력화, 가능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17
후보다. 일부 약물이 바이러스 재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지만 면역체계가 손상된
사람
들은 헤르페스바이러스가 신체 상당부분을 손상시키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에이즈 환자나 장기, 골수 이식 환자들에게 특히 문제가 된다. 과학자들은 비록 쥐 실험에서 가능성을 엿봤지만 ... ...
시트콤 ‘프렌즈’ 메튜페리 사망 원인 지목된 ‘케타민’
동아사이언스
l
2023.12.17
분리되는 환각 효과도 나타난다. 1960년대 군용 마취제로 개발된 케타민은 1970년부터
사람
과 동물에 대한 사용이 허용됐다. 후발국가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마취제로도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케타민을 우울증이나 자살 충동 등 정신 질환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해결에 투신하기로 결심했다. 1918년에 세인트매리병원으로 돌아간 그는 1922년에
사람
의 몸에서 분비되어 세균을 용해시킬 수 있는 리소자임(라이소자임, lysozyme)을 발견하기도 했다. 곰팡이를 배양하여 멸균 능력을 지닌 물질을 찾고 있던 1928년 플레밍은 세균을 키우는 배지에 곰팡이가 오염된 경우 ... ...
네안데르탈인은 '아침형 인간'이었다…"생체리듬 유전자 이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진행했더니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으로부터 유전된 생체리듬 유전자를 보유한
사람
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활동하는 '아침형 인간'인 경우가 많았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이들 고인류가 생존했을 당시 이른 아침부터 활동하는 생체리듬을 갖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 이유에 대해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