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22건 검색되었습니다.
STAP 세포 사태, 향후 쟁점은
과학동아
l
2014.06.05
같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Nature 제공 ● STAP 세포, 원래 없었나? STAP 세포 논문
저자
중 가장 마지막까지 논문 철회에 동의하지 않은 연구자는 찰스 버캔티 미국 하버드대 교수다. 오보카타 연구주임을 비롯해 STAP 세포를 ‘가장 유력한 가설’이라며 지지했던 사사이 요시키 이화학연구소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저널’에 실린 논문과 올해 2월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실린 논문 두 편의
저자
들은 플랑크위성이 2009~2013년 관측한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불임 뉴트리노가 암흑물질의 구성원이라는 가설을 내놓았다. 즉 차가운 암흑물질만을 생각하는 기존 이론이 예측하는 것보다 우주 은하 무리의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모두 철회
과학동아
l
2014.06.04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오보카타 연구주임이 논문의 다른
저자
인 찰스 버캔티 미국 하버드대 교수와 논문 철회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오보카타 하루코 일본 이화학연구소 연구주임이 STAP 세포를 이용해 발생시켰다고 주장한 쥐의 태아. - '네이처'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철회하기로
과학동아
l
2014.06.03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며 “오보카타 주임과 공동 연구를 진행한 기술 스태프와 공동
저자
들을 중심으로 1년에 걸쳐 재현 검증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옥수수 박사'의 감동적인 고백
과학동아
l
2014.06.01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뒤 유형별 원인이 되는 뇌 기능 이상을 밝혀냈다.
저자
들은 문제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환자를 진료해온 정신의학 분야의 치료법은 정형외과 의사가 엑스레이 촬영도 안하고 부러진 뼈를 맞추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러면서 정서적 질환과 ... ...
극한상황에서 인간은 어디까지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5.25
이 책은 정말로 한 사람에 필요한 과학상식을 일목요연하게 한 권으로 정리해준다.
저자
는 자연과학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하나의 개념 안에 여러 분야가 다양하게 얽힌다는 점에 주목했다. 따라서 어느 한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았다고 해서 과학의 기초를 제대로 파악했다고 할 수는 없다. ... ...
머리 쓰다듬으면 사랑 싹트는 ‘터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4.05.23
감정을 나누는 데 어려움을 겪는 자폐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논문
저자
인 프랜시스 맥글론 영국 리버풀존무어대 박사는 “자폐증 환자의 경우 CT수용체에 이상이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진 만큼 CT수용체를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간암 원흉 C형 간염, 백신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05.19
우리나라는 전체 국민의 약 1~2%가 C형 간염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문 1
저자
인 강원석 KAIST 연구원(내과 전문의)은 “C형 간염 치료약은 있지만 백신 개발은 지금까지 사실상 불가능했다”며 “이번 연구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면역회피 기전을 밝혀낸 만큼 백신 개발에 탄력을 받을 ... ...
기생충에서 공존의 미덕을 배운다
과학동아
l
2014.05.18
게임과 다를 바 없다. 이처럼 확률은 우리 생각과는 다르면서도 상식적이다.
저자
는 확률 난제 25가지를 다양한 수학적 지식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해결한다. 풀이 과정이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확률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그 통찰을 얻기 위해서라면 풀이 과정을 완전히 이해하지 ... ...
한인 과학자, iPS세포로 원숭이 뼈 재생 성공
과학동아
l
2014.05.16
년에는 개의 형질을 전환해 붉은 형광 빛을 내게 만든 개 ‘루피’를 만드는 연구에서 제1
저자
로 참여했다. 2010년 미국으로 건너가 NIH에 자리 잡은 뒤,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iPS세포 연구를 주도하며 이번에 큰 성과를 거뒀다. 연구진은 붉은털원숭이라고 불리는 레서스원숭이의 피부세포를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