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00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변형생물체 반입 2년 연속 감소…대부분은 '사료용 옥수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유전자변형생물체 국내 공공인식 결과는 GMO 정보 포털(www.biosafety.or.kr/portal/page/f_05)에서
확인
가능하다. 2023년 유전자변형생물체 주요 통계 인포그래픽.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여드름용 세안 제품, 상처 부위엔 쓰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여성이 얼굴에 난 여드름을 살펴보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여드름성 피부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폼 클렌저, 액체 비누 등은 점막 부위나 상처·습진 등으 ... 인체 세정용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정보는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
"같은 암이라도 다른 약 써야"…암환자 약물 반응 예측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5개의 약물을 선정했다. 기존 연구를 조사한 결과 5개 약물 모두 뇌종양과 관련돼 있음을
확인
하며 이 모델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검증했다. 이현주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세포주 데이터로 약물 반응 모델을 학습하더라도 환자 데이터에서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향후 ... ...
화합물 설계·특성 예측 '한번에' 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예측과 같은 다양한 문제에도 기존의 인공지능 기술을 뛰어넘는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
됐다. 연구팀은 "신약 후보 물질 탐색과 독성 예측 등 다양한 생화학적 영역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예종철 교수는 "화합물의 생성과 특성 예측을 통합하는 AI를 개발해 생성형 AI 기술의 ... ...
우리집 강아지, 눈치 아닌 '단어'로 의미 이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먼저 말한 다음 일치하는 장난감 또는 다른 물건을 제시하도록 했다. 개의 뇌파를
확인
한 결과 일치하는 물체를 보여줄 때와 일치하지 않는 물체를 보여줄 때 뇌에서 다른 패턴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런 패턴이 인간에게서 관찰한 것과 유사해 개가 단어를 이해한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개가 ... ...
나비도 외모 보고 배우자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짝의 외형을 선호하는 원리를 알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을 통해
확인
된 레구칼신1 유전자는 생물이 짝짓기 상대의 외모를 선호하는 메커니즘을 찾는 데 유망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의대 교수 집단 사직 '임박'…정부 "2000명 증원 변경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최소화하기로 했다. 전공의 면허정치 처분 절차를 정부가 계속하겠다는 방침을
확인
한 만큼 26일부터는 하나씩 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면허정지와 관련해 ‘사전 통보’를 받은 전공의들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기한이 25일부터 차례로 끝나기 때문이다. 의견 제출이 없으면 정부가 바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regucalcin1)'이란 유전자가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실험에서
확인
된 나비의 유전자는 배우자를 선호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 ...
과학자들 "생성AI 인종·성차별 문제 개선 위해 AI시스템 공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현실의 인구통계학적인 비율보다 더 치우친 비율로 고정관념을 묘사한다는 점도 함께
확인
됐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9일(현지시간) 생성형AI가 만들어내는 이미지에서 인종차별이나 성차별을 드러내는 이미지가 생성되는 이유와 해결방법을 찾기 위해 AI 시스템을 공개해야 한다는 ... ...
소고기 품은 핑크빛 쌀, 지구를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3.23
연구 기간이 무한정 길어지기 때문에 우선 쌀알에 붙은 소 세포가 제대로 자라는지
확인
한 셈이에요. 소쌀과 같은 연구가 많아지면 우리가 앞으로 마주할 자원 부족이나 기후 위기 같은 큰 문제를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앞으로 또 어떤 신기한 미래 식량들이 만들어질까요.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