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스페셜
"
실제
"(으)로 총 2,22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파야 엄마일까
2016.01.12
한다. 그리고 연구자들은 같은 양육자임에도 불구하고 아빠보다 엄마를 더 구체적이고
실제
적인 것으로 여기는 인식에서 여성들에게 양육의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아이들에게 엄마가 필요하다고들 이야기한다. 하지만 아빠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차치하더라도,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발생하는 경우는 전체의 10~30% 미만(통계 방식에 따라 편차가 있다)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실제
논문을 읽어보면 사실상 10% 미만이라는 내용이다. 이게 맞다면 암은 생활습관의 질병이라는 기존 과학상식은 부활해야 한다! 미국 스토니브룩대의 연구자들은 현재 암 발생의 ‘불운 가설(bad luck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어윈에 따르면 데이비슨은 유전자 조절 네크워크를 정교한 논리회로라고 믿었고
실제
성게에서 이중부정논리게이트를 발견하고는 무척 기뻐했다고 한다. 즉 ‘어떤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가 있다는 말이다. 데이비슨은 동료 이사벨 ... ...
일자리는 만드는 것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구직자들의 막연한 외면을 받으면서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실제
로 2014년 고용노동통계 기준으로 지역 중소기업 인력 부족률은 평균 14%에 육박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정 원장은 "구직자들이 눈과 귀와 마음을 활짝 열어두고 내 고장에 있는 기업의 정보부터 찾아봐야 한다 ... ...
연말정산, 올해 달라진 점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보험료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직장가입자는 자신이
실제
낸 보험료 납부액에 대해서만 공제받을 수 있다. 회사에서 부담한 절반의 보험료는 공제대상이 아니다. 만약 지역가입자라면 자신이 보험료를 모두 내기에 전액 공제받을 수 있다. 의무가입 대상이 아니지만,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크리스토퍼 마셜’
2016.01.04
사람은 N-Ras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뀔 수 있음을 보였고
실제
사람의 암세포에서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음을 확인하기도 했다. 이후 마셜은 N-Ras를 포함해 Ras 단백질이 관여하는 신호전달이 정상세포와 암세포에서 어떻게 다른지 분자메커니즘 차원에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
2016.01.02
진화론에 따르면 자연선택에서 밀린 종들이 멸종의 길을 걸었지만 몇몇 과학자들은
실제
멸종된 종의 대다수는 불가항력적인 자연재해로 순식간에 사라진 것이라고 주장한다. 지난 7월 9일 82세로 타계한 고행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David Raup)도 그런 사람으로 특히 1984년 동료 잭 셉코스키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즉 누구도 독립적으로 선택을 바꿔 이익을 높일 수가 없다. 여러 명이 개입되는
실제
상황에 내쉬 평형을 적용하는 건 대단히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지만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논문을 정리해 박사학위를 받은 내쉬는 1951년 23세에 MIT 교수가 됐고 앨리샤라는 물리학도와 결혼도 했다. 그런데 195 ... ...
화(火), 표현해야 건강해진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있다. 스스로를 ‘화병’이라 지칭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화병’은 의학계의 공식적인 질환이기도 하다. 1996년 미국정신과학회는 화병(火病)을 우리나라만의 문화증후군(culture-bound syndrome)으로 분류하고 한글 발음 그대로 ‘Hwa-Byung’이라 명명하면서 이슈가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등장한 거대 블랙홀의 장엄한 움직임은 물리학 방정식을 동원해 만들어진 결과값이라서
실제
모습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력의 영향력을 다루는 일반상대성이론이 없었다면 우리는 상상만으로 그려진 비과학적인 과학영화를 보고 있었을 것이다. 거대과학이 아닌 일상생활 수준에서도 많은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