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또는 함수의 집합이다F W 아르켈란더가 독일의 본 천문대의 지름 72mm 망원경을 사용하여
관측
가능한 모든 항성의 위치와 밝기를 기록한 성도와 성표 1859~86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경도(經度)를 기산(起算)하는 기점이 되는 자오선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 ...
오늘의 건강을 예보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1일 환자 등록수 통계자료를 넘겨받아 기온, 습도, 오존농도, 황사 등을 종합한
관측
자료를 대입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박 교수는 “1994년 여름에 무더위로 한국에서 사망자가 180명이나 발생했을 때 이 중 40%는 뇌졸중 같은 순환기질환이었다”며 뇌졸중을 비롯한 4개 질환의 지수를 우선적으로 ...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개기일식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불꽃방전을 일으켜 공구나 그 밖의 내마모성을 요하는 기계부품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것
관측
상 방추상으로 보이는 은하계 성운의 하나 나사선성운〔渦狀星雲〕은 전체적으로 원반형이므로 이것을 옆에서 보면 방추상으로 보인다이런 위치에 있는 은하계성운은 머리털자리의 NGC 4565 등이 대표적인 ... ...
기획2. 우주날씨예보가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함께 ‘한국형 태양전파폭발위치감지기’(K-SRBL)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 빅베어 태양
관측
소에 설치될 구경 1.6m짜리 ‘신형 태양망원경’(NST)의 개발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NST는 세계 최대 태양망원경이 될 전망이다.K-SRBL을 이용하면 태양 마이크로파 폭발을 감시해 이동통신 장애에 대한 경보와 ... ...
발견자와 후원자, 갈릴레이와 메디치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갈릴레이의 과학적 업적에는 관성의 법칙을 비롯해 수많은 것들이 있지만 그 중 망원경
관측
을 빼놓을 수 없다. 먼 바다 위 군함을 보여 준다망원경의 발명은 렌즈의 발명에서 시작됐고 렌즈의 발명은 거울에서 비롯됐다. 거울에 비친 모습이 곡면에 따라 일그러진다는 사실을 발견해 최초로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성단은 지름 5cm의 망원경으로
관측
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그러므로 성운 · 성단을 표시할 때는 메시에의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사슬 중 한쪽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우리나라 전역에 설치할 수 없는 노릇이다.따라서 한반도 전체를 감시하는 인공위성에서
관측
한 숲의 영상데이터를 지상에서 실제로 측정한 데이터와 비교분석해서 증발산을 비롯한 물 순환 정보를 만들어내려고 한다. 이는 마치 퍼즐을 맞추는 것과 같다. 물 순환 퍼즐은 2차원이 아니라 시간을 ... ...
미지근한(?)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연구팀은 암흑물질 덩어리의 크기를 이용해 온도를 계산했다.푸에르토리코 마레시보
관측
소의 천문학자 로버트 민친 박사는 “암흑물질이 차갑다는 종래의 이론을 뒤집는 획기적인 발견”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측정한 온도를 이용해 암흑물질이 윔프(WIMP)로 이뤄져 있으며 이것이 초속 9km로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斷續式氣壓計)라고도 한다기구(氣球)에 발진기를 장치하여 상층의 대기를
관측
하는 레윈
관측
을 할 때 사용되는 기압계이다바로스위치는 지침(指針)이 달린 아네로이드 기압계, 접점판(接點板)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점판에는 여러 개의 접점이 배열되어 있다안정된 화합물에서는 산화수가 ...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말이었다. 도시의 불빛이 너무 강해 밤에 하늘의 별을 보기 어려워지면서 점점 천체
관측
시설을 교외로 이전해야하자 천문학자들이 문제를 제기했던 것이다.광공해가 소음공해처럼 일반적인 공해로 인식된 것은 동식물과 사람을 포함한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이 알려지면서부터다. 부화한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