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면역반응이 일어나 항체가 생성되더라도 모두 바이러스를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백질 백신을 개발할 때는 항체가 생성되는지 확인해야할 뿐만 아니라 반드시 생성된 항체가 바이러스를 중화할 수 있는지 시험해야 한다 ... ...
- [진로체험] 온라인에 남긴 흔적 찾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앱)이 어느샌가 내 취향을 파악해 동영상을 추천한다. 이런 추천 알고리듬은 모두 우리가 온라인에서 남긴 흔적, 즉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약 15년 동안 수많은 데이터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아 고객을 파악하는 데이터 전문가를 만나 데이터 세계에 대해 물었다. 주로 어떤 데이터를 ... ...
- [퍼즐라이프] 술술 넘겨봐! 페그 솔리테어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있다면 P=2, Q=1, R=1을 대입했을 때(2+1≥1)와 반대 방향으로 P=1, Q=1, R=2를 대입했을 때(1+1≥2) 모두 부등식을 만족하죠. 파고다 함수가 유용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구슬을 옮겨 배열이 바뀌어도 파고다 함숫값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목표 배열의 파고다 함숫값이 처음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수행한다. doi: 10.1016/j.molmet.2019.07.008GLP-1은 이런 식으로 궁상핵의 주연과 조연에 모두 작용해 강력한 식욕 억제 효과를 유도한다. 현재 이런 원리를 이용한 약물이 시판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식욕 억제 기능 덕분에 2형 당뇨병과 비만 치료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밖에도 2017년에는 뼈를 합성하는 ... ...
- 신상 콤부차 대해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덜 손상됐다는 뜻이다. 실험 결과, 콤부차를 마신 쥐는 ALT는 70.15%, AST는 71.56% 수준으로 모두 감소했다. doi: 10.4014/jmb.0806.374하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콤부차의 효능을 확인한 실험은 아직 부족하다. 2018년 줄리에 카프 미국 미주리대 박사의 리뷰 논문에 따르면 콤부차의 효능을 조사한 연구의 실험 ...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로 쉽게 찍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싶다면 천체망원경과 디지털카메라 전문 장비 사용을 강추합니다. 하지만 이런 장비들을 모두 갖추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럴 땐 과학동아천문대의 ‘해가 숨는다!’ 등 천문대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것도 방법입니다.스마트폰 카메라로는 안 될까요? 우선 스마트폰으로도 태양을 촬영할 수 ... ...
- [사이언스 보드] “로봇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뺏지 않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것”이라며 “둘 중 한 가지 능력만 뛰어나거나, 아니면 청소 로봇과 같이 두 가지 요소 모두 적당히 갖춘 로봇들이 사람과 공존할 수 있고 앞으로도 그런 로봇들이 개발될 것”이라고 말하며 강연을 마무리 했습니다. ...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비슷하기 때문이에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이러스의 가장자리와 태양의 코로나 모두 왕관을 닮아 라틴어로 ‘왕관’을 뜻하는 ‘코로나’로 불리게 됐답니다. [천체사진] 별빛미션!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잃은 이유는? 올해는 명왕성 발견 90주년이자, 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잃은 지 1 ... ...
- [기획] 무작위하지 않으면 공정하지 않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분포란 각 상황에 따른 확률을 나타낸 함수로, 정육면체 주사위의 각 눈이 나올 확률은 모두 이고, 확률 분포 역시 로 균일하죠. 카드를 두 번 섞으면 어떻게 될까요? 처음 섞어서 만든 카드 더미에 붙인 번호를 유지한 채 맨 아래 카드부터 차례로 다시 3장과 2장으로 나눠 쥐고 섞어보겠습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짝지을 수 있는 관계를 말합니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두 집합의 원소들이 중복 없이 모두 대응되는 관계를 뜻합니다. 즉 n차 대칭군은 원소의 개수가 n개인 어떤 집합 X에 대해 X에서 X로 가는 일대일 대응 함수들을 원소로 갖는 군이죠. 정다각형의 대칭이동, 이면군!정n각형의 회전 대칭과 거울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