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염측정의 새 방법 '바이오마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바이오마커는 세포단계에서부터 개체나 군집의 단계에 이르기까지 생물이 나타내는
반
응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절이나 성별 온도 개체 간의 차이 등 여러가지 요인들에 의한 변화가 어느 정도인지를 아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따라서 실험실 내의 시험에서 우수한 바이오마커로 인정받은 ... ...
숙주와 기생생물 '군비확대경쟁'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가장 악랄한 기생생물로 손꼽히는 달팽이 기생충까지도
반
드시 숙주와 적대관계를 가진 것으로 볼 수는 없기 때문에 진화생태학자들의 군비확대경쟁 개념은 타당하지 못하다는 것이다.더불어 산다숙주와 기생생물의 상호작용을 군비확대경쟁에 따른 자연도태에 ...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가상의 소행성을 커크우드틈새에 집어넣고 슈퍼컴퓨터로 궤도의 변화를 찾아내는 일을
반
복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결과는 일본 국립천문대에서 나왔다.5:2 공명지역에 가상의 소행성을 집어넣어 5만년 동안의 변화를 살핀 결과 처음에는 원에 가까운(이심률이 0에 가까운) 궤도를 그리던 것이 ... ...
PART.3 세계최초 국내개발 '팬덤 3D'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셀로판 색안경에 대한 불만도 크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현재의 계획대로 앞으로 1년
반
내에 3-4번의 기능 향상을 꾀하면 외관부터 달라진 안경과 함께 '눈 앞에 화면이 튀어나올 만큼' 입체감을 나타내는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한 자신감을 표한다.한편 한양 미디어는 올해 ... ...
(4) 슈메이커-레비 혜성, 새 목성테 형성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색소의 원인이 되는 분자나 입자를 찾아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혜성 충돌 후 '적
반
'이 생길 것이라는 예측은 확실한 과학적 근거가 없는 '희망사항'일 뿐이다.그러나 인간의 예측에는 언제나 한계가 있는 법. 이번 '우주 쇼'를 감상하고 나서야 예견이 맞았나 틀렸나를 알 수 있다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우주물리의 주요 과제로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우주물리의 본격적인 시작은 1958년
반
알렌(van Allen)이 지구자기권의 존재를 인공위성으로 측정 확인한 이후이다. 그후 우주물리는 주로 지구 주위의 현상들에 국한되었으나 보이저가 목성의 오로라와 자기권을 측정하자 우주물리의 적용범위가 ... ...
톱쿼크 발견 임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시작되어 15개월 동안 실험이 계속된다. 따라서 데이터는 5배 이상 늘어나, 질량 에러가
반
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가까운 시일에 물리학자들은 그 새로운 입자(t쿼크)의 물리적 성질들을 측정하게 될 것이다. t쿼크의 질량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 연구과정을 통해 질량이 매우 큰 소립자들이 ... ...
2. 태양계 축소판, 16개 위성과 소행성 가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자전시간은 24시간이므로 그 빠른 속도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목성의 자기권은 목성
반
지름의 1백배 가량 되는 크기이므로 자기권 끝의 회전속도는 1초에 약 1천km다.목성의 자기권 속에 주입된 입자들은 이온화돼 있는 상태이므로 목성의 자기에 즉시 감기게 되고, 감긴 이온들은 빠른 속도로 ... ...
물리 - 극지방, 왜 적도보다 몸무게 더 나가나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인쇄70 → 처음에는 시간 간격을
반
으로 줄여 계산80~100 → 0.01초 간격으로 5번 계산
반
복110 → 5번마다 결과 인쇄120 → 1초가 되면 계산 끝130 → 1초가 안되면 80번으로 가서 다시 5번 계산한다.∴ 0.05초 간격으로 1초가 될 때까지 20번 인쇄한다 ... ...
컴퓨터 시대의
반
항아 '사이버 펑크'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LSD는 60년대 이후
반
문화의 상징이었으며 약물중독은
반
체제적 젊은이들의 일상적인 행동이었다. 따라서 사이버펑크족들이 잡다한 일상사를 초월해서 순간적인 무아경에 빠질 수 있는 미래의 생활공간으로 사이버스페이스를 활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이다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