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d라이브러리
"
설계
"(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말아야 하고 인간에 복종해야 한다.그러나 군사로봇은 처음부터 이 수칙을 무시하도록
설계
됐다. 하지만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향후 20~30년 안에 사람보다 지능이 우수해질 가능성이 희박하다.더 경계해야 할 점은 군사로봇 덕택에 피를 흘리지 않고 전쟁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새로운 침공의 ...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레이저 디자인은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단방향 발진 마이크로디스크 레이저를
설계
하기 위해서는 레이저와 혼돈에 대한 깊은 지식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레이저 방정식을 푼 연구단은 일본의 하라야마 그룹과 김 교수팀이 유일할 정도다.김 교수의 활동도 바빠졌다. 지난해에는 고등과학원(KIAS ... ...
마음 읽고 배려하는 '똘똘한 칩'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것이 아니다. ‘인간중심의 시스템을 위한 칩’ 그리고 ‘지능형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설계
다. 한마디로 사용자의 의도를 알아내고 사용자의 편의를 배려하는 ‘똘똘한 칩’을 만드는 것이다. 현재 반도체시스템 연구실에는 박사후 연구원 1명과 박사과정 10명, 석사과정 6명의 학생이 있다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레오나르도는 아르키메데스를 본떠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거중기와 권양기를
설계
했다.자연을 진리의 사표(師表)로 삼았던 그는 생성과 소멸을 되풀이하는 생명과 움직임의 원리를 스프링과 태엽으로 환원한다. 이것은 놀라운 발상이었다. 자연의 들숨과 날숨, 밀물과 썰물은 직진과 회전으로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거행했다.당시의 철도는 궤도 간격이 4척 8촌 반(1435mm)에 선로의 최대 경사가 1/50로
설계
됐다. 나중에 경인철도합자회사에서는 경사도를 1/100로 변경하고 레일의 무게와 침목의 두께, 폭, 길이를 다시 조정해 1마일(약 1.6km) 당 침목 2600개의 비율로 부설했다.마침내 1899년 9월 18일 노량진역에서 부분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조정장치는 기본
설계
단계에서는 부수적인 존재에 지나지 않았으나 처음부터 기본
설계
속에 넣어 그 기능을 향상시킨 것이 가변특성기이다 아폴로 우주선 개발기술이 낳은 전자조정장치에 의해 가능하게 된 것인데 지금까지의 항공기의 이미지를 일신시켰다 1795~1870 프랑스의 수학자·물리학자 183 ... ...
2. 모양은 같아도 기술은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상용화되지는 않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는 2011년 기술개발 완료를 목표로 현재 시스템
설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6. 바퀴 없이 레일 위를 나는 자기부상열차자기부상열차는 같은 극끼리 밀어내고, 다른 극끼리 끌어당기는 자석의 원리를 이용한다. 바퀴 없이 열차가 공중에 떠서 달리기 때문에 ... ...
근거있는 엉뚱함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게 가장 즐거웠다”며 “집에 돌아가서 내가 쓴 논문을 검증하는 실험을 더 구체적으로
설계
해 보겠다”고 말했다.박군을 지도한 이희권 교사는 “3M 캠프의 목표는 엉뚱한 생각을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사회에서 통용되는 방법’으로 표현하는데 있다”며 “이만하면 이번 캠프는 원래 목적을 ... ...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손잡이를 잡기 위해 수많은 모의실험을 통해 7개 관절로 된 3개의 손가락을 가진 손으로
설계
했다. 물건을 제대로 잡기 위해서 손끝의 촉감을 느낄 수 있는 인공 피부를 장착했다. 티롯의 시스템 디자인에서 제작까지는 1년이 넘게 걸렸다. 태권V와 비교해서는 아주 단순한 로봇이지만 이런 로봇들에 ... ...
나무판과 현이 빚어낸 천상의 소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앰프와 스피커도 전자공학과 조규형 교수와 산업디자인학과 졸업생인 김형민 씨가
설계
한 것을 사용했다.약 60명의 연주자 중 객원 연주자 2명을 빼고 모두 바이올린을 제작한 학생들과 음악동아리 학생들이 연주를 맡았다. 반응은 뜨거웠다. 단순히 과학과 음악이 만났다기보다는 양쪽이 같은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