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노출되기 전에 물관과 체관이 폐쇄되고 수베린과 리그닌 같은 물질이
세포
안에 쌓이면서
세포
가 코르크화 된다. 그 결과 줄기에서 잎이 떨어져 나간 자리가 매끈하게 마무리된다.그렇다면 에틸렌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식물체가 있다면 잎의 탈리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까. 지난 2003년 ... ...
[과학뉴스] 결핵균 숨겨 주는 투명망토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리포만난을 쥐에 각각 주사했더니 결핵균에서 분리한리포만난을 맞은 쥐에서는 면역
세포
를 불러오는 신호전달물질인 ‘TNF’가 더 적게 만들어졌다. 이 리포만난이 TNF의 생산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에 작용해 TNF 생산을 방해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밝혔다. 슐레진저 교수는 “수세기동안 결핵균은 ... ...
플라스틱, 바다에서 양식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미래의 플라스틱은 석유가 아닌 미생물에서 나올지도 모른다.최근 독일 마르부크대의 우베 마이어 교수팀은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미세조류를 만들었다. ... 않아도 된다. 게다가 PHB는 저절로 분해된다는 장점도 있다. 연구 결과는 과학 학술지 ‘미생물
세포
공장’ 10월 17일자에 실렸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 있는 측정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생체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심혈관
세포
와 면역
세포
를 대상으로 독성 반응을 조사하고 있다. 남 교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생체연료전지는 원천기술로, 인체이식형 의료기기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전망했다 ... ...
내가 제안한 실험을 진짜 우주에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에서 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ssam1029@snu.ac.kr)로 신청한다. 수시접수 한다.동식물 DNA추출과
세포
분열 관찰, 표준용액의 제조와 산·염기 적정 등 토의, 실습 중심의 생명과학 관련 활동을 할 수 있다. 소정의 교육 시간을 이수하면 수료증도 발급된다. 생명과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참여해보자.별과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모양을 떼어서 옮겨도 다른 자리와 겹쳐지지 않는다. 노벨상의 바탕은 수학 인체 내
세포
면역체계가 병원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파괴하는가에 대한 메커니즘 연구로 1996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던 피터 도어티는‘노벨상 가이드’라는 책의‘노벨상을 받는 법’에서 순수 수학은 수상 대상에 ... ...
암
세포
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넣어도 괜찮은지를 완벽히 증명하지 못했다. 또 바이러스 항암제를 써도 살아있는 암
세포
는 여전히 많다. 워낙 돌연변이가 많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이들을 모두 죽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하나씩 풀어가는 게 남은 과제다. 다음 임상시험을 통해 밝혀질 것으로 생각한다.이제 JX-594는 두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방법을 시도한 학자가 있었지만, 주로
세포
핵 유전자를 썼기 때문에 번번이 실패했다.
세포
핵 유전자는 배우자의 유전자와 서로 섞이기 때문에 유전자 재조합 현상이 자주 일어났고, 어떤 변이가 얼마나 일어났는지 연구하기가 대단히 까다로웠다.칸 교수는 크기가 작고 어머니에게 서 유전돼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부분인 변연계(감정과 기억을 담당하는 대뇌 반구 안쪽 영역)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신경
세포
의 전기적 활성화임은 분명하다.”‘과학동아’ 2004년 6월 특집기사 ‘사랑은 뇌가 한다-내 사랑은 로맨스일까 에로스일까’의 일부다. 성적인 흥분은 성기의 말초신경에 가해진 말 그대로 ‘말초적인’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복제를 통해 배반포를 만든 연구가 성공한 적이 있다. 예를 들면 조류(강)인 닭의 체
세포
를 포유류(강)인 소의 난자에 넣은 뒤 배반포를 만든 연구가 2004년에 있었다. 하지만 대리모 임신을 하고, 건강한 자손까지 낳은 경우는 없었다. 만약 황 박사의 연구가 사실로 판명된다면 진전은 진전이다.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