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칩이 탔다. 이세환 연구원은 전자칩을 약 40개 제작한 뒤에야 성공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가장 성능이 좋은 기존 생체신호 측정 회로에 비해 10배 이상 정밀하게 신호가 측정됐다. 세계 최고 수준이다. 특히 기존 전자칩은 신호를 읽는 채널이 늘어날 때마다 그에 비례해 잡음에 취약해졌는데, ... ...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모두 ‘왜 그런 걸까’를 생각하며 공부했죠. 예를 들어, 어떤 이론에 대해 배우면 어떤 실험이나 과정을 통해 이런 이론이 나오게 됐는지, 이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등 이론 자체를 분석하는 일에 집중했습니다.” 실컷 노는 것도 필요학원 대신 얻은 여유 시간에 공부만 한 것은 ... ...
- [과학뉴스] 몸무게 3kg만 달라져도 생체분자 바뀐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스나이더 미국 스탠퍼드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실험참가자 23명의 유전체와 단백질, 대사물질, 미생물 구성 등 분자 정보를 수집하고 몸무게 증감에 따른 이들의 변화를 분석했다. 생명 현상과 관련된 대량의 정보를 컴퓨터로 분석해 전체적인 생명 현상을 파악하는 ...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효과도 노렸다. 에어커튼의 재료는 250도에서 한 시간 이상 견딜 수 있게 설계했다. 이날 실험 결과, 에어커튼 작동 시 터널 안쪽의 온도 센서는 50도까지 기록한 반면 외측의 온도센서는 22도를 유지했다. 터널 내부의 일산화탄소(CO) 농도도 터널 내부는 60ppm(공기 1kg당 60mg의 비율)으로 높았지만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앞으로 계속 출시되는 컬링 패드에 대한 실험 결과를 축적할 계획이다. 또 얼음의 온도와 마찰계수 사이의 관계를 연구해 컬링을 비롯해 다양한 동계 스포츠 종목의 경기력 향상을 도울 계획이다. 이 책임연구위원은 “루지 썰매에 장착하는 스케이트 날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얼렸다가 해동시킨 첫 연구 사례도 나왔다. 미국 브레인프리저베이션재단 연구진은 실험용 토끼의 뇌를 냉동 보존한 지 5년 만에 별 다른 손상 없이 해동하는 데 성공했다. 토끼를 대상으로 한 연구지만 뇌는 냉동인간 기술의 난제로 남아있는 만큼 냉동인간 기술의 돌파구가 제시된 것으로도 볼 수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FDA)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값이 비싼데다가 환자가 약물에 반응한다는 실험적 증거가 반드시 있어야 보험회사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약의 혜택을 받는 환자는 소수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오가노이드 기술 덕분에 약에 대한 반응성을 저렴한 가격에 확인할 수 있게 된 ... ...
- [인터뷰] 장서현 “과학동아가 면접에 결정적인 도움 됐어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때 방과후학교에서 지시약으로 과학 실험을 했는데, 손으로 섬세하게 만지고 조작하는 실험 자체도 재미있었고 결과가 다양하게 나온다는 점에서 정말 흥미롭더라고요. 자라면서 생명과학이 우리 생활과 밀접하면서도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더 많은 관심을 갖게 ... ...
- Part 3. 쌍둥이 눈결정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습도, 공기 흐름 같은 조건을 조절해 원하는 모양으로 인공 눈결정을 만들 수 있는 실험장치를 만든것이다. 쌍둥이 눈결정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결정이 자라나는 환경을 엄격하게 제어해야 한다. 리브레히트 교수는 “북미 사람들은 학교에서 ‘두 개의 눈송이는 다르다’고 배운다”며,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남극의 빙하를 관찰하고 있지요. 아이스브리지 임무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날아다니는 실험실’이라고 불려요. 빙하의 깊이와 높이, 두께, 표면 온도 등 여러 가지 데이터를 관측하기 위해 어마어마한 장비들을 싣고 다니기 때문이지요. 1초에 1만 번의 진동을 만들어내는 초정밀 레이저를 쏴서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