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람
여정
관광
항해
객려
여행길
편력
d라이브러리
"
여행
"(으)로 총 2,569건 검색되었습니다.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답답한 것이다. 더구나 태양계로부터 가까운 별들까지의 거리조차 우리에게는 너무 멀어
여행
이 불가능하다는 사실까지 고려하면 UFO는 우리에게 구세주와 같은 존재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스필버그 감독의 명화 ‘ET’에서 인간 어린이에게 훈훈한 정을 베푸는 인자한 ET의 모습은 우리를 침공하고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전세계에 보여준 게임이다. 게임 주인공은 각각 기사가 돼 마을을
여행
하면서 무기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적과 싸우기도 한다. 건물 내부에 들어갔을 때와 외부에 있을 때 그래픽이 조금씩 달라지는 등 세심한 부분의 배려가 돋보인다. 게임을 하면서 대화가 가능해 게이머들간에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효능실험에 참가할 사람을 모집했다. 거기에 뽑힌 사람은 얼마전 77세의 나이로 우주
여행
을 마친 존 글렌. 그의 임무는 뇌파, 심장박동, 체온 등을 점검한 23개 첨단 센서를 단 채 멜라토닌을 먹고 잠을 자는 일. 멜라토닌 확산의 분수령이 될 이 실험은 이틀 동안 계속됐다. 실험 결과는 아직 나오지 ... ...
멘델레예프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당시 그녀의 나이는 57세. 눈보라 속에서 우랄 산맥을 넘고 볼가강을 건너 는 험난한 도보
여행
이었다. 오로지 목적은 하나, 즉 막내 아들을 모스크바 대학에 입학시키는 일이었다.그러나 천신만고 끝에 도착한 모스크바 대학의 입장은 '입학 불가'였다. 이전까지 멘델레예프가 받은 성적이 좋지 ... ...
② 잠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왕복으로 따지면 한달에 6일 정도를 자지 않는다는 계산이다.여기에 서울에서 장거리
여행
을 떠나기 전날 밤의 경우도 포함하면 '잠 못 이루는 밤'은 더욱 늘어난다. 맥주를 몇병 마시고 운동을 해도 긴장감 때문에 잠이 도통 오지 않는다. 한마디로 '미칠 지경'이라는게 한 승무원의 토로다.장거리 ... ...
슈뢰딩거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만들어내는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위대한 파동방정식의 영감이 애인과의 밀월
여행
에서 떠오른 셈이다.하지만 부인은 슈뢰딩거의 '탈선' 때문에 속은 상했지만 드러내놓고 불평을 하지는 않았다. 심지어 슈뢰딩거가 새로운 여자와 사귀는 것을 돕기도 했다. 슈뢰딩거가 한 여자와 관계를 맺고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수억개의 네트워크가 연결된 정보의 바다다. 그러나 이를
여행
하다보면 속도가 느려 신경질이 난다. 인터넷을 쾌속 질주할 통신선은 없을까. 인터넷 이용자가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불만 한가지. "도대체 왜 인터넷은 느려터진 거야." 그래서 사람들은 웹(World Wide Web)을 'World Wide Wait' 라고 빈정거린다.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모습을 그리고 있다. 또 '로스트 인 스페이스'에서도 새로운 터전을 찾아 냉동상태로 우주
여행
을 떠나는 가족들이 나온다. 이러한 냉동 인간은 인간의 생명활동을 일시 정지했다가 다시 활동하도록 하는 미래 기술의 전형이다.그런데 공상과학에서 언급되고 있는 이러한 인간 냉동기술이 최근의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천문우주기획 대표이자 과학책으로서는 드물게 베스트셀러가 된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
'의 저자이 기도 한 이태형씨는 대학시절부터 아마추어천문회에서 활동했고, 천체사진 공모전에서 여러번 수 상경력이 있는 한국 아마추어천문계의 대표주자다.노력하는 끈기파이씨의 이번 발견은 ... ...
살아있는 화석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것이다. 그 실러캔스의 발견은 작년 9월 18일 셀레베스섬으로 밀월
여행
을 갔던 미국의 생물학자 마크 에르드만 박사 부부가 어시장으로 실려가는 실러캔스를 보면서 시작됐다. 당시 그들은 실러캔스의 모습만 촬영해 두었다. 그러나 후속 실러캔스는 거의 1년 후인 1998년 7월 3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