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완료
마무리
성숙
원숙
완비
완벽
d라이브러리
"
완성
"(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개수는 2, 4, 8, 16 식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공중에서의 만남 몇 번 만에 면발이
완성
됐다. 면을 높이 들고 사진 촬영에 응하던 이 주방장은 “수타면 반죽에는 물이 많이 들어가 이렇게 들고 있으면 면이 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뚝뚝 끊어져 떨어진다”고 말했다. 만져 보니 반죽이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수 있다. 이런 ‘자릿값 기수법’또는 ‘위치 기수법’은 인도에서 서기 800년경에
완성
돼, 아랍을 거쳐 유럽으로 그리고 전 세계로 보급됐다. 그래서 이것을 인도·아라비아 수 체계라고 한다.지금처럼 인도·아라비아 수 체계로 수를 간편하게 나타내거나 여러 가지 계산을 종이 위에서 간편하게 ... ...
일본 첫 우주실험실
완성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큰그림 보러가기 ...
일본 작가 카가야가 그린 밤하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2006년부터 일본 전역에서 상영되고 있다. 두 번째 작품 ‘우주일직선’도 1주일 전에
완성
했다. 이 작품들이 한국의 플라네타륨에서도 상영되길 바란다. 지금은 도시의 밤이 워낙 밝아 별을 제대로 보기도 어렵다. 결국 천문학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지 않을까. 물론 내가 어렸을 때와 비교해보면 ...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30억 쌍의 염기 배열과 1만개 정도의 염기가 담당하는 기능을 담고 있다.게놈프로젝트의
완성
이후 과학자들은 질병치료에 관련된 몇몇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 특히 암세포의 발생과 관련된 ‘p53 유전자’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밝혀 암 정복의 가능성을 열었다.암은 손상된 유전자를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둥지를 만들어.그 다음에 가늘게 쪼갠 줄기를 엮어서 보호벽과 지붕을 만드는 거야.
완성
하고 나면 공 모양이 되지. 그 안에는 잘게 씹은 풀이나 새의 깃털을 깔아 포근하게 만든단다. 아직 잎이 붙어 있는 줄기를 이용해 둥지를 만들기 때문에 주변의 풀밭과 잘 구별되지 않아서 아주 안전해~.동물 ... ...
조물조물~ 내 손으로 만드는 자연의 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❺ 수세와 건조 천을 깨끗이 헹구고 햇볕에 말리면 염색 끝~.쨔쟌~! 드디어 손수건
완성
! 노란개나리를 닮지 않았니? 그 자체로도 아름답지만 우리가 쓰는 물건에도 고스란히 고운 색을 선사하는 자연이 새삼 고맙게 느껴졌어.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천연염색에 꼭 한번 도전해 봐. 고운 빛을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109.5° 이외의 각도는 비누거품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수학적인 증명은 1976년에야
완성
됐다.비누거품 구조는 평면과 공간의 분할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평면을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정사각형 구조가 아니고 벌집과 같은 정육각형 구조다. 여기서 한 구조가 평면을 효율적으로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우주망원경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은 달 먼지로 만든 콘크리트로 망원경의 뼈대를
완성
한 다음 지구에서 가져간 알루미늄으로 반사경을 만드는 방법을 제안했다. 중력이 약해 큰 망원경을 만들기 좋을 뿐더러 대기가 없어 별이 또렷하게 보일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관련기사를 계속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심장이 수축하거나 이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14가지 신호전달 경로를 지도로
완성
했다. 연구팀은 시스템지도를 활용해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심장비대증을 연구했다. 연구의 목적은 똑같은 칼슘이 작용하는데 왜 특정 경우에만 심장이 병적으로 커지는지 이유를 밝히는 것. 김 교수팀이 2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